항목 ID | GC40000652 |
---|---|
한자 | 倭館線 |
영어공식명칭 | Waegwan Lin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서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태윤 |
전구간 | 왜관선 -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3가|노원동2가|서구 비산동|원대동3가|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왜관선 -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3가|노원동2가|서구 비산동|원대동3가![]() |
성격 | 도로 |
길이 | 14.2㎞ |
차선 | 왕복 4~6차선 |
폭 | 24~32m |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2가에서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을 연결하는 도로.
대구광역시의 중심과 주변의 시군을 연결하는 8개의 방사선 도로[군위축, 왜관축, 성주축, 창녕축, 청도축, 경산축, 영천축, 영통축] 중 왜관 방면 도로이다.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2가 원대오거리에서 북구 노원동3가 만평네거리, 서구 비산동 팔달교를 지나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대구의 중심에서 칠곡 왜관까지 연결하는 연계축을 형성한다는 의미에서 ‘왜관선’으로 칭하여졌다.
원대오거리에서 지천까지 이어진 도로로서, 연장은 14.2㎞, 폭은 24~32m, 차선은 왕복 4~6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행 최대 제한 속도는 대부분 시속 60㎞이다.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서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에 이르는 국도 제4호선의 일부로서, 우리나라 중부 지역의 동서를 연결하기 위하여 개설된 도로이다. 대구의 중심과 칠곡군 왜관읍까지 발전하는 대구·경북축 도로를 만들기 위하여 연결도로 신설 및 확장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왜관읍은 대구와 구미로부터 이전되는 산업 기능 유치 및 주거 기능을 분담하고 있으며, 군부대 이전지를 복합업무단지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대구와의 연계성이 높은 지역이다. 대구와 왜관과의 2019년 시경계 24시간 교통량은 양뱡향 3만 9296대로 8개의 방사선 도로 중 경산축, 안동축 다음으로 교통량이 많다. 대구에서 유입되는 왜관에서 시내 방향으로의 교통량이 1,740대 더 많은데, 외곽에서 대구로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도로축이다. 2015~2019년 교통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2.15%이고, 교통량이 가장 많은 시간인 첨두시는 17시~18시에 3,782대이어서 첨두율 9.62%로 매우 높다. 승용차의 비중이 69.42%로 가장 많고, 화물차 소형의 비중이 19.22%로 높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