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682 |
---|---|
한자 | 慶北大學校 本館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산격동 1370-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고소진 |
건립 시기/일시 | 1956년![]() |
---|---|
현 소재지 | 경북대학교 본관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370
![]() |
원소재지 | 경북대학교 본관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370 |
성격 | 교육시설 |
양식 | 철근콘크리트조|빅토리아 양식 |
소유자 | 교육인적자원부|경북대학교 |
관리자 | 경북대학교 시설과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는 경북대학교의 본관.
경북대학교 본관은 1956년 대구 지역 현대 건축의 1세대인 조자용[1926~2000]의 설계로 건축되었다. 경북대학교 본관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빅토리아 양식의 4층 건물이며, 남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경북대학교 본관은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경북대학교 캠퍼스 내에서 약간 높은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다. 학생종합서비스센터와 인접한 곳에 있다.
경북대학교 본관은 건물의 노후화로 인하여 보수 정비가 이루어졌다. 2009년에 중앙 로비와 복도가 리모델링되었다.
경북대학교 본관은 지상 4층 건물이지만, 5층 규모로 보인다. 건물은 1층 기단부 위에 3개 층이 있고, 그 위에 1층 높이의 빅토리아풍의 원형 돔(dome)이 있는 구조이다. 외관은 정면 중앙부에 높은 돌계단을 두었고, 현관의 포치(porch) 아래 6개의 돌기둥을 세웠다. 외벽은 석재로 마감하였고, 벽면에는 커튼월(curtain wall)[원래는 힘을 받지 않는 벽을 의미하나, 근래는 유리로만 된 벽을 지칭하기도 함]이 사용되었다. 건물의 내부는 E자 형태의 중복도식이다. 현관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었다.
경북대학교 본관은 지금도 학교 내 본부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경북대학교 본관은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370에 자리하고 있다.
경북대학교 본관은 지금까지 외관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지붕 위의 돔, 수직창, 포치 아래를 바치는 돌기둥 등에서 빅토리아풍을 확인할 수 있어, 현대 건축사에서 의미 있는 건물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