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028 |
---|---|
한자 | 日新亭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도곡길 89[서변동 537]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구본욱 |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는 개항기 유학자 이억상이 건립한 정자.
일신정(日新亭)은 수헌(守軒) 이억상(李億祥)[1835~1905]이 만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일신(日新)’은 『대학(大學)』에 나오는 탕(湯) 임금의 반명(盤銘)에서 이름 붙인 것이다. 이억상은 어릴 때 종숙(從叔) 만은공(晩隱公)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추구하였다. 임재(臨齋) 서찬규(徐贊奎)[1825~1905], 경재(景齋) 우성규(禹成圭)[1830~1905] 등과 교유하였다. 문집으로 『수헌집(守軒集)』 9권 4책이 있다.
이억상은 「일신정이 이루어짐에 우연히 적다[日新成寓題]」라는 시에서 “몇 년을 경영하여 여기에서 거처하니, 담벼락의 오동나무 정원의 풀 고요히 관조하네. 환성정 아래 유허지가 있으니, 늦게 집안의 옛일 할 것을 깨달았네. 종인·친구들과 수작을 하며, 자식과 손자 가르치니 책이 쌓이네. 늘그막에 지팡이 짚고 소요할 때, 태고와 같은 산수를 몹시 사랑하네[幾歲經營卜此居, 垣梧庭草靜觀初. 喚惺亭下遺墟在, 晩悟家中舊業餘. 叙族酬朋樽有酒, 課孫敎子案儲書. 老來筇屐逍遙際, 偏愛溪山太古如]”라고 하였다. 이억상은 일신정에 머물며 강규(講規)를 제정하여 강학하였다. 강규에 의하면 “공부하는 사람은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여야 한다. 뜻을 세우고 마음이 바른 연후에 공부가 바르게 나아갈 수 있다. 뜻이 선 연후에 공부가 진취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강의하는 서적은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소학(小學)』, 『대학(大學)』의 5서(五書)와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 『예기(禮記)』, 『춘추(春秋)』의 5경(五經), 그리고 『심경(心經)』, 『근사록(近思錄)』을 위주로 한다고 하였다. 1900년에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1833~1906]이 방문하였으며, 1903년에는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1836~1905]이 방문하였다.
일신정은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537 망일봉(望日峰) 아래에 있다.
일신정은 1890년경에 건립하였으며 1956년에 중수하였다.
일신정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목조 기와집이다.
일신정은 관리 상태가 양호하다.
일신정은 조선 후기 대구의 유학자 이억상이 건립하여 강학한 곳이며, 대한제국 말기 우국지사인 면암 최익현과 연재 송병선이 방문한 유서 깊은 정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