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457 |
---|---|
한자 | 鄭錡 |
영어공식명칭 | Jung Ki |
이칭/별칭 | 청보(淸甫),금재(琴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도성탁 |
출생 시기/일시 | 1574년 3월 2일![]() |
---|---|
몰년 시기/일시 | 1642년![]() |
출생지 | 사수동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 |
거주|이주지 | 복현동 -
대구광역시 북구 복현동
![]() |
수학|강학지 | 정기 강학지 - 대구광역시 북구 |
묘소|단소 | 정기 묘소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 |
사당|배향지 | 복현재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동래(東萊) |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학자.
정기(鄭錡)[1574~1642]의 본관은 동래(東萊)이며, 자는 청보(淸甫), 호는 금재(琴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어모장군 정세검(鄭世儉)이고, 할아버지는 정사철(鄭師哲)이다. 아버지는 정광천(鄭光天)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안인(李安仁)의 딸 벽진이씨(碧珍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허선술(許善述)의 딸 하양허씨(河陽許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유도남(庾道南)의 딸 평산유씨(平山庾氏)이다. 형은 정익(鄭釴)이고, 동생은 정집(鄭鏶)·정수(鄭鐩)이다.
정기는 1574년(선조 7) 3월 2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에서 태어났다.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와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1550~1615]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대수롭게 여기지 않았으며, 예의를 숭상하고 학문에 전념하여 부지런히 사람들을 가르치고 인도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피난 중에도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모시고 다니며 정성으로 받들어 정철이 효자 집안에 또 효자가 났다며 칭찬하였다고 한다. 만년에는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 사월(沙月) 유시번(柳時藩), 동고(東皐) 서사선(徐思選), 도곡(陶谷) 박종우(朴宗祐)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강론하였다. 정기는 1642년(인조 20) 사망하였다.
정기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북구 복현동에 있었으나 후손들이 연경동으로 이장하였다.
정기는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에 있는 복현재(伏賢齋)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