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618 |
---|---|
한자 | 書道東書院額板下 |
영어공식명칭 | Write Under The Sign Of Dodongseowon |
이칭/별칭 | 「도동서원 액판 아래에 쓰다」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영호 |
조선 후기 대구 일대에서 강학 활동을 하였던 정구가 1607년 도동서원 액판을 현액하면서 지은 글.
「서도동서원액판하(書道東書院額板下)」의 저자 정구(鄭逑)[1543~1620]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도가(道可)이며, 호는 한강(寒岡)이다. 아버지는 정사중(鄭思中)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 이환(李煥)의 딸이다. 이황(李滉)[1501~1570]과 조식(曺植)[1501~1572]의 문인이다. 모든 방면의 학문에 정통하였고,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많은 예서(禮書)를 편찬하였다. 정구는 말년에 칠곡 사수(泗水)[현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과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일대]로 이거(移居)하여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대구를 포함한 인근 지역의 유학 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대구의 연경서원(硏經書院)·도동서원(道東書院) 등 많은 서원에 제향되었다.
도동서원은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1454~1504]을 배향하기 위하여 지어진 서원이다. 현재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에 있다.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1820~1898]의 서원 철폐령에도 철폐되지 않은 47곳 서원 중 하나이다. 이황은 김굉필을 ‘동방도학지종(東方道學之宗)’이라고 칭송하였다.
「서도동서원액판하」의 이칭은 「도동서원 액판 아래에 쓰다」이다.
「서도동서원액판하」는 1607년에 쓰여졌으며, 이황의 유지(遺志)를 계승한 내용과 도동서원 현액의 과정이 서술되어 있다.
「서도동서원액판하」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황 선생이 김굉필 선생의 서원 건립에 크나큰 의지를 가졌으나 살아 계실 때 그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만약 도동서원이 이황 선생이 계실 때 있었더라면 액호를 직접 쓰기를 가장 먼저 하셨을 것이다.
지금 서원이 중건되고 대궐에서 이름을 ‘도동(道東)’으로 하라는 명이 내려오고 판액(板額)이 곧 내려올 예정이다. 이황 선생이 쓴 편액 글씨 중 ‘도·동·서·원’ 네 글자를 찾아 본뜨고 새겨 서원으로 보냈다. 선생의 옛 필체와 성주(聖主)가 하사하신 판액이 안팎으로 빛나게 될 것이니, 배우는 자에게 종주로 삼고 법 삼아야 하는 곳을 알게 하였다. 우리 서원에 들어오는 선비들이 편액을 바라보며 선생의 덕을 상상하고 흠모하여 도동의 뜻을 깊이 체감할 것이다.”
「서도동서원액판하」는 이황 글씨로 된 도동서원의 현판 아래에 걸려 있다.
「서도동서원액판하」는 이황의 문인이었던 정구의 스승 존숭과 대구 지역에 이황의 성리학을 정착시킨 정구의 의지와 헌신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