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301 |
---|---|
한자 | 孤山驛 |
영어공식명칭 | Gosan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080[시지동 250-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은정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05년 10월 18일![]() |
---|---|
최초 설립지 | 고산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080[시지동 250-1] |
현 소재지 | 고산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080[시지동 250-1]![]() |
성격 | 전철역 |
면적 | 7,819.79㎡[역사 총면적]|2,891.58㎡[지하 1층 면적]2,340.39㎡[지하 2층 면적]|2,587.82㎡[지하 3층 면적] |
전화 | 053-791-0858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동에 있는 대구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
고산역(孤山驛)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동에 있으며, 대구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동시에 개설되었다. 북쪽에 있는 해발 90m의 고산(孤山)의 이름을 따와 ‘고산역’이라 칭한다. 대구도시철도 2호선의 239번 역이다.
1996년 12월 19일 대구도시철도 2호선 문양~사월에 이르는 26개 역, 28.08㎞에 이르는 구간의 공사가 착공되었고, 2005년 10월 18일 문양역~사월역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개통 이후 많은 대학들이 밀집하여 있는 경상북도 경산시까지 연장하자는 방안이 제기되었다. 2007년 6월 4일 사월역~영남대역 연장 구간[3개 역, 3.32㎞] 공사가 착공되었고, 2012년 9월 19일 사월역에서 경상북도 경산시 지역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총 29개 역, 31.4㎞].
고산역은 2005년 10월 18일 대구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동시에 영업 개시하였다. 2017년 6월 8일 대구도시철도 2호선 전 구간 역사에 승강장 안전문[Platform Screen Door]을 설치 완료하였다.
고산역의 플랫폼은 2면 2선으로 된 상대식 구조이다, 출구는 4곳이다. 1번 출구 방향에는 고산초등학교, 2번 출구 방향에는 고산우체국이 있다. 역내 자전거보관소, 장애인 편의시설[엘리베이터 3대, 에스컬레이터 9대, 장애인 점자판, 장애인 위생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영남대역 방향 첫차는 6시 1분, 막차는 23시 50분에 운행되며, 문양역 방향 첫차는 5시 39분, 막차는 23시 15분, 이곡역까지의 막차는 23시 28분에 운행된다. 2019년 월 평균 승차 인원은 8만 2446명이고 하차 인원은 8만 160명이다.
대구 도시기본계획안에 따른 대구도시철도 3호선 범물동에서 신서혁신도시 구간을 연장하는 사업 시행 시, 정거장 9곳[환승역 2곳 포함]이 생기게 되고 신기역[1호선]과 고산역[2호선]은 환승역이 된다. 연장 노선은 범안로~대구미술관~대구스타디움~대구야구장~고산역~율하택지지구~대구연료산업단지~신서혁신도시~첨단의료복합단지를 경유하도록 계획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