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165 |
---|---|
한자 | 大藏一覽集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호산동 산2-1]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장요한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2년 1월 2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6월 29일 - 대장일람집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소장처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호산동 산2-1]![]() |
성격 | 불교 경전 |
편자 | 진실 |
권책 | 1권 1책 |
행자 | 10행 23자 |
규격 | 반곽 21.8×13.1㎝ |
어미 | 상흑어미(上黑魚尾)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 |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후기의 불교 경전
대장일람집(大藏一覽集)은 송나라의 승려 진실(陳實)이 대장경의 중요한 정수만을 가려서 집대성한 일종의 사전이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본 대장일람집은 판식이나 서체가 13세기 중반에 유행한 고려본과 같아 고려 초인 13세기 중엽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장일람집은 목판본 1권 1책이다. 사주단변(四周單邊)에 반곽(半郭) 크기가 가로 21.8㎝, 세로 13.1㎝이다. 무계(無界)에 10행 23자이고, 주쌍행(註雙行), 상흑어미(上黑魚尾)가 있다. 판심의 흑어미가 가늘게 처리된 송본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같은 시기에 간행된 『능엄경』, 『선문염송』의 판심과도 유사하다. 판심 하단에 존식(存植), 정안(定安) 등 경판을 새긴 기술자인 간수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대장일람집은 8문(門) 60품(品) 1,181칙(則)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품은 천지개벽과 부처의 계보, 불교의 전파 등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칙은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대장일람집은 선왕품(先王品)부터 번뇌품(煩惱品)까지 17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대장일람집은 현재 전하 는국내 전존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대장일람집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고, 본문의 묵서 구결은 구결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대장일람집은 2002년 1월 2일 보물 제1335호에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