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501 |
---|---|
한자 | 悅樂堂 |
영어공식명칭 | Yeollakdang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로 134-13[상인동 885-2]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병호 |
조선후기 대구광역시 출신 의병장 월곡 우배선의 우국충정과 선비 정신을 기리는 재실.
열락당(悅樂堂)은 임진왜란 당시, 화원과 달성 그리고 최정산(最頂山) 등지에서 왜구를 무찔러, 초유사 김성일(金誠一)[1538~1593]의 치하를 받았고, 망우당 곽재우(郭再祐)[1552~1617] 장군과 합세하여 적을 토벌하는 데 헌신한 우배선(禹拜善)[1569~1621]을 기리는 재실이다. 우배선은 할머니 상을 당하고, 마마를 앓는 와중에도 군무(軍務)를 폐하지 않는 충성을 보였다. 순찰사 한효순(韓孝純)[1543~1621], 체찰사 이원익(李元翼)[1547~1634] 등이 우배선의 충효를 알아주어, 합천(陜川)군수에 제수되었다.
우배선은 1600년에는 금산군수가 되어 전후 군민을 구휼하는 선정을 베풀었다. 1605년 선무원종 일등공신에 올랐다. 1607년 경상좌수영 우후(虞候)에서 체직되어 고향 월곡리(月谷里)[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로 돌아왔다.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1550~1615], 망우당 곽재우, 인재(訒齋) 최현(崔晛)[1563~1640] 등과 월곡정사(月谷精舍)에서 경전을 강론하며 역학(易學)에 몰두하였다. 당시의 당호가 『논어』「학이」 첫 구절에서 두 글자를 따온 ‘열락’이다.
열락당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 있다.
월곡 우배선이 향리로 돌아와 경전을 강론하여 책을 읽던 열락당은 그동안 퇴락하여 원래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던 중 1995년 종종에서 뜻을 모아 장지산 기슭에 중건하여 추모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열락당은 솟을대문에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대청 2칸 골기와 팔작지붕에 기와 돌담으로 주위를 두르고 있다.
열락당의 건립 취지를 기술한 우성규(禹成圭)의 「열락당기」와 11세손 우억기(禹億基)의 「중건기문」이 있다.
열락당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월곡 우배선의 의병 투쟁과 우국의 선비 정신을 기리려는 종중의 열망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