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312 |
---|---|
한자 | 工團驛 |
영어공식명칭 | Gongdan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대구광역시 서구 팔달로 28[비산동 1705-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경희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15년 4월 23일![]() |
---|---|
준공 시기/일시 | 2015년 12월 31일 - 공단역 준공 |
최초 설립지 | 공단역 - 대구광역시 서구 팔달로 28[비산동 1705-2] |
현 소재지 | 공단역 -
대구광역시 서구 팔달로 28[비산동 1705-2]![]() |
성격 | 전철역 |
면적 | 1,829.133㎡[역사 전체 면적]|828.85㎡[지상 2층 면적]|965.46㎡[지상 3층 면적]|586.75㎡[지하 1층 면적]|34.82㎡[기타 면적] |
전화 | 053-327-1668 |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 있는 대구도시철도 3호선의 전철역.
공단역(工團驛)은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 있으며, 대구도시철도 3호선 322번 역이다. 서구와 북구의 경계에 있지만, 공단역의 소재지는 서구 비산동이다. 역이 비산염색공업단지 옆에 위치하여 ‘염색공단’을 역명으로 추천받았으나 역 북동쪽으로 대구3공단이 있어 두 산업단지를 아우를 수 있는 ‘공단역’이 역명으로 정하여졌다.
1990년 10월 대구시는 교통부에 대구지하철 건설 및 운영 기본계획을 제출하였고, 1991년 1월 1단계로 3개 노선이 확정되었다. 대구도시철도 3호선 승인 내역은 칠곡~범물 21.5㎞가 확정되었다. 이후 2003년 1월 기본계획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거친 후, 2008년 5월 구간은 북구 칠곡~명덕네거리~수성구 범물, 기간은 2006~2014년, 차량 형식은 모노레일 경전철을 내용으로 승인을 받았다. 2009년 6월 대구도시철도 3호선 건설 공사는 8개 공구가 동시에 착공되었다. 이후 2014년 12월 31일 대구도시철도 3호선은 연장 23.95㎞, 정거장 30개소, 차량기지 2개소로 전 구간 동일 준공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시운전을 거쳐 2015년 4월 23일 3호선 전 구간[칠곡경대병원역~용지역 23.95㎞]이 개통되었다.
2013년 10월 2일 ‘공단역’으로 역명이 확정되었다. 2015년 4월 23일 대구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동시에 영업 개시하였다. 3호선에서는 구암역에 이어 2018년 건강테마역으로 조성되었다.
공단역에는 건강계단, 건강피아노계단, 건강 정보 안내 등의 시설이 설치되었다. 왕복 8차선 도로 가운데 역 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횡단보도를 건너서 도로 가운데로 가야 공단역을 이용할 수 있다. 역 출구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지상역으로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 전체 면적은 1,829.133㎡이며, 지상 2층 828.85㎡, 지상 3층 965.46㎡, 지하 1층 586.75㎡, 출입구 등 기타 면적 34.82㎡이다.
역 근처에 주거지가 없으며, 주변은 서대구 섬유산단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요가 적은 편이다. 신천대로와의 접근성이 좋은 편이지만, 이 역시 자가용 이용과 관련이 있으며, 이마트 트레이더스도 공단역 수요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용지역 방면 첫차는 5시 46분, 막차는 23시 29분, 칠곡경대병원역 방면 첫차는 6시 2분, 막차는 23시 49분에 운영된다. 2019년 기준 월평균 역 이용객은 승차 4만 1394명, 하차 3만 5943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