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518 |
---|---|
한자 | 烽燧[達城郡] |
영어공식명칭 | Beacon Fire Station |
이칭/별칭 | 봉수대(烽燧臺)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이재환 |
[정의]
조선 시대 달성 지역의 봉수.
[개설]
봉수(烽燧)는 횃불[烽]과 연기[燧]로 국경과 해안의 안위를 약정된 신호 전달 체계에 의해 국경 지대의 군정(軍情)을 신속하게 중앙에 보고하던 군사 통신 수단이다. 삼국 시대부터 원시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고려 시대에 정례화되었다. 조선 전기에 다섯 개 노선의 봉수망이 정비되면서 전국적으로 700여 개소에 이르는 봉수대가 설치·운영되었다. 봉수는 성격에 따라 전국의 모든 봉수가 집결하였던 중앙 봉수인 경봉수(京烽燧), 국경과 해안가 및 도서 등 연변 초면에 설치되어 있는 연변 봉수(沿邊烽燧), 연변 봉수와 경봉수를 연결하는 내지 봉수(內地烽燧)로 구분되며, 조선 후기 군사적으로 중요하였던 영진에서 자체적으로 설치하여 본읍·본영·본진으로 연락하도록 운영되었던 근설 봉수(權設烽燧)가 있다.
영남 지역에는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가장 많은 170여 기의 봉수가 있으며, 각종 문헌 기록에 없는 것들도 있다. 영남 지역은 조선 시대 5거제의 봉수 노선상 제2거 직봉과 그에 딸린 간봉 10개소의 연변 내지 봉수가 한양의 경봉수에 연결되었으며, 낮에 연기를 올리는 주연(晝煙) 지역이었다. 봉수가 임진왜란[1592년] 등 국가적인 위기 상황에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효용에 대한 논란이 있었음에도 조선 시대 500여 년간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평안화(平安火)를 상징하는 1거(炬)의 거화를 통해 봉수가 지나는 고을의 백성들이 이를 바라보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하는 경보(警報) 기능이 있었기 때문이다. 봉수의 관리는 전적으로 고을의 수령들이 담당하였으며, 봉수 인근의 고을 백성들이 교대로 번(番)을 이루어 운용하였다.
[위치]
조선 시대 달성을 포함한 대구 지역에는 전국의 5주 5봉 24간 2봉 가운데 두 개의 간봉에 연결되는 네 개의 봉수대가 있었다. 지리지에 기록된 봉수대는 마천산 봉수, 법이산 봉수, 성산 봉수, 소이산 봉수이다.
마천산 봉수(馬川山烽燧)는 대구부(大邱府) 서쪽 하빈현(河濱縣)에 있는 것으로, 남쪽으로는 화원현(花園縣) 성산(城山) 봉수의 연락에 응하며 북쪽으로는 성주의 각산(角山) 봉수대에 통보하도록 되었다.
법이산 봉수(法伊山烽燧)는 대구부 남쪽 수성현에 있어 남쪽의 청도군 팔조령 봉수대의 연락에 응하며 북쪽으로는 경산 성산 봉수대에 통보하였다.
성산 봉수(城山烽燧)는 대구부 서쪽 30리[11.78㎞]의 화원현 성산에 있는 것으로 서쪽 성주 덕산(德山) 봉수대의 연락에 응하며 북쪽으로 마천산 봉수대에 통보하였다.
소이산 봉수(所伊山烽燧)는 현풍현(玄豊縣) 북쪽 5리[1.96㎞]에 있어 남쪽으로는 25리[9.82㎞] 떨어진 창녕 합산(合山) 봉수대의 연락에 응하며 북쪽으로는 10리[3.93㎞] 밖에 있는 성주의 덕산 봉수대에 통보하였다.
[현황]
달성 지역의 봉수 터 추정지는 다음과 같다. 남리 소이산(所伊山) 봉수 터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 쌍산(雙山)[269.4m] 산정부에, 삼산리 봉수 터는 가창면 삼산리 182-1번지 일대와 청도군 이서면 팔조리에 걸쳐 위치한다. 이천리 마천산 봉수 터는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 산40번지 산정부 또는 하빈 고개 북쪽 능선의 해발 255.7m 산정부에 자리하며, 성산 봉수 터는 성산리 토성(城山里土城) 전망대와 그 남쪽 집수대 부근에 있다. 성산 봉수 터는 2000년에 영남 문화재 연구원이 성산리 토성 전망대와 그 남쪽 집수대 부근에 대하여 시굴 조사를 하였으나 봉수대와 관련된 시설이나 문화층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천리 마천산 봉수 터는 2010년에 동양 문물 연구원이 정밀 지표 조사를 하여 2개소의 추정 봉수 터를 확인하였고, 2014년에 경상북도 문화재 연구원이 그중 한 곳인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 산40번지에 대한 시굴 조사를 실시하여 방호벽으로 추정되는 석축과 봉수의 연조(煙竈)로 추정되는 4개의 석렬군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