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752 |
---|---|
한자 | 禹錫珪[達城郡] |
영어공식명칭 | Woo Seokgyu |
이칭/별칭 | 백옥(伯玉),지족당(知足堂)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광우 |
출생 시기/일시 | 1648년 - 우석규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675년 - 우석규 생원시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82년 - 우석규 창릉 참봉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685년 - 우석규 종묘서 부봉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686년 - 우석규 상서원 부직장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686년 - 우석규 상서원 직장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687년 - 우석규 산음 현감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689년 - 우석규 산음 현감 파직 |
활동 시기/일시 | 1710년 - 우석규 진천 현감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713년 - 우석규 사망 |
출생지 | 대구도호부 - 대구광역시 달성군 |
묘소|단소 | 우석규 묘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명대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단양 |
대표 관직 | 진천 현감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백옥(伯玉), 호는 지족당(知足堂). 증조할아버지는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우배선(禹拜善)이다. 할아버지는 선교랑(宣敎郞) 우달해(禹達海)이고, 할머니는 주부(主簿)를 지낸 송희순(宋希醇)의 딸 숙인(淑人) 은진 송씨(恩津宋氏)이다. 아버지는 효행으로 복호(復戶)된 우여률(禹汝律)이며, 어머니는 노전(盧㙉)의 딸 광주 노씨(光州盧氏)이다. 부인은 김시락(金是犖)의 딸 숙인 의성 김씨(義城金氏)이며,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우석규의 단양 우씨(丹陽禹氏) 일족은 1989년까지 달성군 월배읍이었던 현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일대에서 세거해 오고 있다.
우석규(禹錫珪)[1648~1713]는 1648년(인조 26) 대구도호부에서 출생하였다. 1675년(숙종 1) 생원시에 급제하였고, 1682년(숙종 8) 창릉 참봉(昌陵參奉), 1685년(숙종 11) 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 1686년 상서원 부직장(尙瑞院副直長)·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1687년(숙종 13) 산음 현감(山陰縣監)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관직 생활을 하는 동안 우석규는 민정중(閔鼎重)·이이명(李頤命)·홍수헌(洪受瀗)·권상유(權相游)·이만성(李晩成) 등 서인계 학자 및 관료들과 교유하였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서인 정권이 무너지자 산음 현감에서 파직되자 고향으로 내려와 학문 연구에 주력하였다.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서인이 재집권하자 다시 서인계 인사들과 교유하였고, 그 과정에서 두 아들이 권상하(權尙夏)와 이여(李畬)의 문인이 되었다. 1710년(숙종 36) 이만성의 천거로 진천 현감을 지냈다.
17세기 후반 대구도호부 지역의 대표적인 기호학파 인사로서 3권 1책의 문집인 『지족당집(知足堂集)』이 전한다. 1697년(숙종 23) 『대구 읍지(大丘邑誌)』를 편수하였다.
묘는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명대리 송동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