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447 |
---|---|
한자 | 大邱 栗岩洞 支石墓 |
영어공식명칭 | Dolmen in Yuram-dong, Daegu |
이칭/별칭 | 대구 율암동 고인돌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반야월북로 30-26[율암동 312]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배성혁 |
소재지 | 대구 율암동 지석묘 -
대구광역시 동구 반야월북로 30-26[율암동 312]![]() |
---|---|
성격 | 고인돌 |
크기(높이,지름) | 대문 옆 고인돌 [길이 340㎝|폭 240㎝|높이 150㎝]|북동쪽 고인돌[길이 325㎝|폭 260㎝|높이 210㎝] |
대구광역시 동구 율암동에 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대구 율암동 지석묘는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고가교에서 동쪽으로 180m 정도 떨어진 반야월 북로변에 있다.
대구 율암동 지석묘는 아직 발굴 조사되지 않았다.
대구 율암동 지석묘는 재질은 모두 화강암이다. 대문 입구에 접해 있는 대구 율암동 지석묘는 길이 340㎝, 폭 240㎝, 높이 150㎝ 정도 규모이다. 덮개돌의 옆면에는 9개의 정 자국이 나 있다. 북동쪽에 있는 지석묘는 길이 325㎝, 폭 260㎝, 높이 210㎝ 정도 규모로 하부에 지석으로 추정되는 냇돌이 확인된다.
대구 율암동 지석묘에서는 유물이 출토되지 않았다.
대구 율암동 지석묘는 원래 9기의 고인돌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2기의 고인돌만 개인 집 마당에 남아있다. 덮개돌의 모양이나 규모, 조성 입지, 주변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로 보아 몇 기의 고인돌이 군집을 이루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 율암동 지석묘의 존재는 주변에서 조사된 다양한 청동기시대 유적과 더불어 금호강과 그 지류인 율하천 일대의 청동기문화를 연구하는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