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863 |
---|---|
한자 | 臨床試驗 新藥生産- |
영어공식명칭 | Clinical Trial New Drug Production Center |
이칭/별칭 | 의약생산센터 |
분야 |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88[동내동 360-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임경희 |
설립 시기/일시 | 2013년 11월![]() |
---|---|
개칭 시기/일시 | 2017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5년 8월 -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DGMIF 포럼 제1회세미나 개최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7년 3월 -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GMP 인증완료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6년 12월 -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식품의약안전처 의료기기 시험검사기관 지정 |
최초 설립지 |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88[동내동 360-4] |
현 소재지 | 의약생산센터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88[동내동 360-4]![]() |
성격 | 전문연구기관 |
설립자 | 기획재정부|보건복지부|대구광역시|대구광역시 동구청 |
전화 | 053-790-5114 |
홈페이지 | http://www.dgmif.re.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에 있는 신약 개발·임상 실험 연구 기관.
의약생산센터는 첫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내 핵심연구시설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제약기업이나 연구기관 등에 의약품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 세워졌다. 둘째, 독자적인 의약품 생산시설을 구축하도록 돕고, 신약개발 촉진을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의약생산센터는 2013년 11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에서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로 준공하였다. 2015년 8월 DGMIF 포럼 제1회세미나 개최, 2016년 12월 식품의약안전처 의료기기 시험검사기관 지정되고, 2017년 3월 완제 의약품 및 원료 의약품 GMP 인증 완료되었다. 2017년 의약생산센터로 개칭하였다.
의약생산센터는 글로벌 수준 GMP 적격 임상용 의약품의 생산 및 공급, 국내 제약사 지원 및 GMP 컨설팅, 의약품 분석법 개발 및 제조공정 최적화 활동을 지원한다. 제약 전문인력 양성사업으로 약대생의 제약산업 실무실습 수행, 제약산업 관련 전공학생 대상 실무실습 교육 수행, 유관기관 신청자 대상 인턴십 프로그램 수행을 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의약생산센터는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내 신약개발지원센터 또는 실험동물센터와 연계서비스도 하고 있다.
의약생산센터는 건축 연면적 8,955㎡로 지하 1층 ~ 지상 4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다. 그리고 2개 동[M, A동]으로 분리 구축되어 있다. M동 지상 1층은 기계실, 전기실 등이 있고, 지상 2층은 보관소[일반], 사무실이 있다. 지상 3층은 생산시설[고형제], 지상 4층에는 공조실, 팬룸 등이 있다. A동은 지하 1층은 기계실, 전기실 등이 있고, 지상 1층은 보건소[항암제], QC시험실, 제제연구실, 생산시설[원료]가 있다. 지상 2층에는 생산시설[항암주사제], 지상 4층에는 공조실, 팬룸 등이 있다.
2018년 현재 3부 9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운영부는 품질보증팀, 품질관리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품생산부는 주사제생산팀, 고형제생산팀, 공정개발팀으로 나뉘어져 있다. 기획운영부는 연구기획팀, 운영지원팀, GMP 설비팀, 교육홍보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약생산센터는 제약 산업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특히 6년대 약학대학 필수 교과과정인 제약산업 실무실습을 적극 수행하는 등의 실질적 도움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