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1281 |
---|---|
한자 | -打令 |
영어공식명칭 | Sae Taryeong (Traditional Korean Ballad)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지 | 「새타령」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
![]() |
---|---|
가창권역 | 「새타령」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 |
성격 | 유희요 |
토리 | 육자배기토리 |
출현음 | 미·라·시·도·미 |
기능 구분 | 가창유희요 |
형식 구분 | 독창 |
박자 구조 | 3소박 4박자 |
가창자/시연자 | 이덕이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에서 다양한 새를 소재로 하여 부르는 민요.
원래 「새타령」은 남도잡가의 하나로 화창한 봄날 즐겁게 지저귀는 여러 가지 새들의 모습을 멋있게 그리는 노래이다. 민요나 판소리에서도 「새타령」이 불린다.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의 「새타령」은 남도잡가를 흉내낸 민요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의 「새타령」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 채록일은 정확하지 않으나 채록자는 권오경과 김기현으로 기재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의 「새타령」은 혼자서 부르는 독창 형식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의 「새타령」은 단편적이고 짧은 사설이지만 온갖 잡새가 날아드는 것으로 시작하여 몇몇 새들의 다양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새가새가 날아든다/온갖 잡새가 다 날아드니/단풍조창 떨쳐든다/
구만리 장천에 대봉새/기산의양에 봉황새 /말 잘하는 앵무새/
화원문전 화초에 짝을 지어/쌩긋쌍긋 날아든다/이산으로 가면 울어울어 울음 운다/
저산으로 가면 부꿍부꿍 부꿍꿍/에헤 좋구나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의 「새타령」은 남도잡가 새타령을 기본으로 하여 새들의 모습을 표현한 가창유희요로 그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