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비사가 불탄 이야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1310
한자 大悲寺-
영어공식명칭 A Tale of Burnt the Daebisa Templ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6년 10월 2일 - 「대비사가 불탄 이야기」지묘동 주민 신우용 채록
관련 지명 「대비사가 불탄 이야기」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채록지 「대비사가 불탄 이야기」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왕건|견훤|신숭겸|김철득|대비사 승려
모티프 유형 사찰유래담|사찰소실담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 위치했던 대비사 건립과 소실을 다룬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김광순, 『한국구비문학』(국학자료원, 2001)

김기현, 『대구 동구의 오래된 이야기』(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 2013)

인터뷰(지묘동 태극도서 주인 신우용, 남, 52세, 1986. 10. 12.)

[내용]

후삼국 시대 고려 왕건(王建)[877~943]은 신라 경애왕(景哀王)[?~927]의 요청에 따라 후백제의 견훤(甄萱)[867~936]과 일전을 벌였다. 바로 927년 대구광역시 동구 일대에서 벌어진 공산전투(公山戰鬪)이다. 왕건지묘동(智妙洞) 일대에서 견훤의 군사에게 크게 패해 목숨마저 위태롭게 되었다. 이때 왕건과 외모가 흡사한 신숭겸(申崇謙)[?~927]이 왕건의 옷으로 바꿔 입고 왕건으로 가장하여 싸우는 사이, 왕건은 무사히 탈출해 죽을 위기를 넘겼다. 신숭겸이 전사하자 견훤의 군사들은 신숭겸왕건으로 생각하고 신숭겸의 머리를 잘라갔다. 후에 고려군이 신숭겸의 시신을 수습하려 했으나, 머리도 없고 옷도 벗겨져 분별할 수 없었다. 왼쪽 다리에 있는 칠성(七星)을 보고 신숭겸의 시신을 찾았다. 강원도 춘천시 춘선군 서면 방독리에 신숭겸의 묘를 세우고 장례를 치렀다. 그 후 왕건신숭겸의 시신을 수습했던 장소에 대비사(大悲寺)[다른 이름으로 지묘사(智妙寺), 미리사(美理寺 또는 美利寺)라 불림]를 지어 신숭겸을 기렸다.

1819년(순조 19)에 대구영리(大邱營吏)[대구도호부 소속 아전] 김철득(金喆得)이 자신의 아버지 묘를 쓰고자 대비사 승려와 짜고 불을 질렀다. 대비사는 모두 타버렸고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대비사가 불탄 이야기」왕건대비사를 창건하여 신숭겸을 기린 사찰 유래담과 김철득과 대비사 승려의 방화 사건을 바탕으로 한 사찰 소실담을 모티프로 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