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봉산동 월견산 고인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802
한자 大邱 鳳山洞 月見山 -
이칭/별칭 대구 봉산동 월견산 지석묘군,신천 좌안의 고인돌[지석묘군],신천 유역의 고인돌[지석묘군]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230-1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민선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 시기/일시 청동기시대 - 대구 봉산동 월견산 고인돌 조성
소재지 대구 봉산동 월견산 고인돌 -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230-1 지도보기
성격 고분
양식 고인돌
크기(높이,지름) 190㎝[길이]|130㎝[너비]|80㎝[높이]

[정의]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월견산 일대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개설]

대구 봉산동 월견산(大邱鳳山洞月見山) 고인돌[지석묘]은 신천 서쪽에 신천과 나란하게 형성된 해발 78m의 나지막한 구릉에 있었다. 구릉은 과거 월견산(月見山), 연귀산(連龜山), 운귀산(雲龜山), 오포산(午砲山), 자라바우산 등으로 불렸다고 한다. 월견산은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인 서거정(徐居正)[1420~1488]의 대구십경(大邱十景) 중 제3경인 귀수춘운(龜峀春雲)[거북산의 봄구름]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대구부사(大邱府史)』에는 고인돌이 월견산 정상에 5기가 있고, 산기슭에 2기가 있었다고 한다. 정상에 있던 ‘구암(龜岩)’이라고 불린 가장 큰 고인돌 1기만 현재 제일중학교 교정에 이전되어 남아 있다.

[위치]

대구 봉산동 월견산 고인돌은 현재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28-1번지 제일중학교 교정에 1기 남아 있다.

[형태]

대구 봉산동 월견산 고인돌 덮개돌[상석(上石)]은 거북모양[구형(龜形)]이며, 재질은 화강암이다. 크기는 길이 190㎝, 너비 130㎝, 현재 높이 80㎝이며, 윗면에 지름 5㎝ 내외의 홈구멍[성혈(性穴)] 3개가 있다. 『대구부사』의 기록에는 머리 방향이 서남향(西南向)이며, 덮개돌 아래에는 판석으로 만들어진 석곽이 노출되어 있었다고 한다.

[출토 유물]

『대구부사』에는 월견산 정상의 가장 큰 고인돌 주변에서 돌도끼[석부]와 붉은색간토기편이 수습되었다고 한다.

[현황]

대구 봉산동 월견산 고인돌은 현재 제일중학교 교정에 이전하여 관리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신천 유역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고인돌은 신천에 의하여 형성된 자연제방에 분포하지만, 대구 봉산동 월견산 고인돌은 구릉 정상부와 산기슭에 분포하였다는 차이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