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965 |
---|---|
한자 | 田大雄 |
영어공식명칭 | Jeon Daeung |
이칭/별칭 | 아보(雅甫)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류덕제 |
출생 시기/일시 | 1927년![]() |
---|---|
활동 시기/일시 | 1960년 - 전대웅 『현대문학』에 평론 「시와 신앙」 추천 |
몰년 시기/일시 | 2011년![]() |
출생지 | 경상북도 금릉군 아포면 -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
학교|수학지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 |
학교|수학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대학원 - 영국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주 |
활동지 | 계성고등학교 -
대구광역시
![]() |
활동지 | 효성여자대학교 -
대구광역시
![]() |
성격 | 문학평론가|교수 |
성별 | 남성 |
대표 경력 | 한국문인협회 창립 회원|효성여자대학교 교수 |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문학평론가.
전대웅(田大雄)[1927~2011]은 1927년 지금의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에서 태어났다. 호는 아보(雅甫)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대구 계성고등학교, 효성여자대학교[현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960년 『현대문학』에 평론 「시와 신앙」이 추천받아 문단에 나왔다. 한국문인협회 창립 회원, 미래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전대웅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6·25전쟁 중에 입대하여 통역 장교와 육군사관학교 교관으로 복무하였다. 한국문인협회 창립 회원으로 가입하였으며 유치환 등과 함께 한국문인협회 경북지부 창립에 참여하였다.
전대웅은 2011년 사망하였다.
전대웅은 문학평론집 『시와 신앙』, 『소자(騷者)와 광란의 의미』, 『신비평의 계보』 등을 집필하였고, 이론서 『현대미국소설연구』[공저, 1979], 『현대영미문학의 이해』[1997], 『윌리엄 포오크너의 문학세계』[1993], 번역서 『비극(悲劇)의 피안』[1995] 등을 냈다.
전대웅은 경북문화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