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451 |
---|---|
한자 | 博約會 大邱廣域市支會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44-4[남산동 579-17]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구본욱 |
설립 시기/일시 | 1994년 7월 9일![]() |
---|---|
개칭 시기/일시 | 2003년 7월 25일![]() |
최초 설립지 | 박약회 대구지회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44-4[남산동 579-17] |
현 소재지 | 박약회 대구광역시지회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44-4[남산동 579-17]![]() |
성격 | 유림단체 |
설립자 | 지회장 박도규 |
전화 | 053-257-3005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는 유림 단체.
박약회는 유학의 정신을 바탕으로 인격을 함양하며 사회교화를 위하여 조직된 단체이다. 아울러 전통문화 보존, 청소년 교화 및 유학정신의 현대화를 위한 각종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박약회 대구광역시지회는 유학사상 및 한국의 전통사상을 연구, 계승, 대중화하고, 유교문화를 생활화함으로써 선현들의 정신을 오늘에 되살려,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유산을 보존 관리하며 후손들에게 전승한다. 명칭은 『논어(論語)』에 나오는 “子曰 博學於文이요, 約之以禮면, 亦可以不畔矣夫저[공자 말씀하시기를 널리 글을 배우고 예로써 요약을 한다면 또한 도리에 어긋나지 않을 것이다].”라는 말의 ‘박(朴)’과 ‘약(約)’에서 취한 것이다.
1994년 7월 9일에 박약회 대구지회를 창립하였다. 2003년 7월 25일 박약회 대구광역시지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1년 ’대구박약상’을 제정하여 2018년까지 5회 시상하였다.
박약회 대구광역시지회는 유학의 연구와 계승 발전에 노력한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들의 인성교육에 힘을 기울인다. 그리고 회원들의 교양 함양을 위하여 유학 교육과 서예 등 각종 유학에 관한 교육을 실시한다. 그리고 향교, 서원 등 유교의 문화유산을 보존 계승 발전시키는 방안을 연구한다.
박약회 대구광역시지회의 회원 및 전문가들의 유학에 관한 글을 모아 1996년에 『유학과 현대』 책자를 창간하여 2020년에 제21집을 발행하였다. 1999년에는 대구 지역의 문중과 대구에 관한 각종 역사와 문화 유적을 편집하여 『대구향맥(大邱鄕脈)』을 발행하였으며, 2015년에는 『대구 역사문화』를 발행하였다.
박약회 대구광역시지회는 회원, 이사, 자문위원 등으로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박약회 대구광역시지회는 오늘날 산업화로 인하여 인성과 도덕성이 약회되고 있는 시대에 유학에서 중시하고 있는 인격과 수양을 강조, 교육함으로써 전통적인 미풍양속을 보존하고 건전한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