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082 |
---|---|
한자 | 大明洞 洞神祭 |
영어공식명칭 | Daemyeong-dong Dongsinje|Religious Ritual for the Village Spirit in Daemyeong-dong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현진 |
중단 시기/일시 | 1958년![]() |
---|---|
의례 장소 | 대명10동 회화나무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 |
성격 | 마을 제사 |
의례 시기/일시 | 정월 열나흗날 |
신당/신체 | 회화나무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지내던 마을 제사.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서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이 되면 한 해의 풍년과 마을 사람들의 평안을 기원하며 대명동 동신제를 지냈다.
대명동 동신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다.
대명동 동신제는 대명동 장등산(張登山) 입구에 있는 오래된 회화나무에 제사를 지낸다. 장등산에는 예전에 성황당이 있어 ‘당산’이라고 부르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성황당은 없어진 상태이고 당산나무인 회화나무만 남아있다. ‘대명10동 회화나무’로 일컬어지는 당산나무는 수령 약 250년, 나무높이는 12m 정도이다.
대명동 동신제는 1958년부터 중단되어 현재는 별다른 마을 제사를 지내지는 않고 있으며, 동신제를 지내던 회화나무만 남아 있다. 회화나무는 주변에 시멘트 울타리를 설치하여 보호하는 중인데, 나무가 많이 훼손되어 껍질도 벗겨지고 줄기도 다 허물어진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