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498 |
---|---|
한자 | 家憲 |
영어공식명칭 | Family Motto |
이칭/별칭 | 「전경창 가헌」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곽명재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532년 1월 9일 - 「가헌」 저자 전경창 출생 |
---|---|
저자 몰년 시기/일시 | 1585년 10월 9일 - 「가헌」 저자 전경창 사망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859년 - 『계동집』 간행 |
배경 지역 | 계동선생유적비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
배경 지역 | 무동재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로2안길 6-25[파동 425]![]() |
성격 | 잡기류|교훈서 |
작가 | 전경창 |
조선 전기 대구 출신의 학자 전경창이 집안 자제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지은 교훈서.
「가령(家令)」의 저자 전경창(全慶昌)[1532~1585]의 본관은 경산(慶山)이며, 자는 계하(季賀)이고, 호는 계동(溪東)·만오(晩悟)이다. 정헌대부(正憲大夫) 예조판서(禮曹判書)인 문평공(文平公) 전백영(全伯英)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전순(全珣)이고, 어머니는 김해송씨(金海宋氏) 송식(宋軾)의 딸이다. 대구부 수성현 파잠리(巴岑里)[현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에서 태어났다.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문인이다. 16세기 후반부터 대구광역시 지역의 유학은 이황의 성리학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전경창은 이황의 성리학을 대구광역시 지역에 전파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숙량(李叔樑)[1519~1592], 정구(鄭逑)[1543~1620] 등과 교류하였다. 대구광역시의 연경서원(硏經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계동집(溪東集)』이 있다. 「가령」은 「전경창 가헌」이라고도 한다. 수성구 파동에는 연경서원 건립을 주도하고 배향된 전경창의 계동정사 터에 후손들이 건립한 무동재(武洞齊)가 남아 있다.
「가헌」은 집안의 자제를 가르치기 위한 법도이며, 총 25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헌」은 25개의 항목이 별도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른 몸가짐과 품행, 재산 관리, 후손 교육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면과 삼감[勤謹]’을 가정의 기본 법도로 삼고, ‘검소와 두터움[儉厚]’을 가정의 풍속으로 삼았다. 살아가면서 쉽게 빠질 수 있는 폐해에 대한 경계가 주된 내용이다.
「가헌」은 삼강(三綱)의 윤리를 강조하며, 남녀의 역할 구분을 엄정하게 하고 있다.
「가헌」은 집안의 윤리적 지침서의 역할을 한다. 가문의 규범과 가풍(家風)을 집약한 것이며 가문에서 중요시한 도덕적 덕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따라서 전경창이 지은 「가헌」은 전씨 가문이 추구하고 강조한 가치 덕목과 조선 전기의 문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