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차퇴계이선생화암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09
한자 敬次退溪李先生畫巖韻
영어공식명칭 Reply to the Hwa-arm poem written by Teacher Lee-hwang
이칭/별칭 「화암시」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6년 - 이주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04년 - 이주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851년 - 「경차퇴계이선생화암운」 저자 『태암집』 간행
배경 지역 화암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절구
작가 이주

[정의]

대구의 연경서원을 노래한 퇴계 이황의 한시에 차운하여 조선 전기 학자인 이주가 지은 한시.

[개설]

「경차퇴계이선생화암운(敬次退溪李先生畫巖韻)」의 배경 지역인 연경서원(硏經書院)은 대구 지역에 최초로 지어진 서원으로, 이황(李滉)[1501~1570]·정구(鄭逑)[1543~1620]·정경세(鄭經世)[1563~1633] 3인과 함께 별도로 향현사(鄕賢祠)를 세워 전경창(全慶昌)[1532~1585]과 이숙량(李淑樑)[1519~1592]을 제향하였던 서원이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되었다. 연경서원의 터는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북구 연경동 사이에 있다. 이황연경서원 건립 공사가 완공되어 가고 있던 1565년(명종 19) 봄에 「서원십영(書院十詠)」 시를 지었는데, 그중 한 수(首)가 연경서원을 노래한 「화암서원(畫巖書院)」이다. ‘화암서원’은 연경서원의 별칭이다.

이주(李輈)[1556~1604]는 본관이 인천(仁川)이며, 자는 경임(景任)이고, 호는 태암(苔巖)이다. 이주는 1556년(명종 11) 파잠리(巴岑里)[현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에서 태어났고, 후에 무태(無怠)[현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로 옮겨 살았다. 전경창(全慶昌)·정구(鄭球)·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고, 정경세(鄭經世) 등과 교유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사원(徐思遠)과 함께 창의병(愴義兵)을 모집, 군량을 조달하고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소모관(召募官)으로 있었다.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서계서원(西溪書院)에 제향되었다.

[구성]

「경차퇴계이선생화암운」은 칠언절구이다.

[내용]

기암여화자천성(奇巖如畫自天成)[화폭과 같이 빼어난 암벽 천연히 이루어져]

삭입층공기겁경(削立層空幾劫經)[하늘로 가파르게 서서 몇 겁의 세월 견뎠는가?]

억석퇴도부자훈(憶昔退陶夫子訓)[옛적 퇴계 선생의 가르침을 생각하여 보니]

잉교취몽각성성(剩敎醉夢各醒醒)[취하고 몽매한 자들 일깨우기 충분하네]

[특징]

「경차퇴계이선생화암운」은 청(靑) 계열의 운목이 사용된 칠언절구이다. 결구(結句)는 이황의 「화암서원」 결구의 내용을 이어받아 읊은 것이다.

[의의와 평가]

「경차퇴계이선생화암운」이황의 「화암서원」에 가장 먼저 차운한 한시이다. 대구 지역 퇴계의 학맥 계승과 정착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