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513 |
---|---|
한자 | 古野禾黍 |
영어공식명칭 | Rice In The Fields Of Goya |
이칭/별칭 | 「고야 들판의 벼」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대구광역시 서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곽명재 |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 1949년![]() |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951년 - 『대구팔경시집』 간행 |
배경 지역 | 만평네거리 -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 |
배경 지역 | 대구향교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112[남산동 735-4]![]() |
성격 | 한시|칠언절구 |
1949년 대구광역시 서구 만평네거리 일대 풍경을 노래한 한시.
「고야화서(古野禾黍)」는 1949년 봄에 대구향교(大邱鄕校)를 출입하던 유림(儒林)들이 선정한 대구 지역 명승지 여덟 곳의 중 하나인 ‘고야 들판’의 풍경을 노래한 한시이다. 고야 들판은 현재 대구광역시 서구 만평네거리 일대를 가리킨다. ‘만평(萬坪)’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 만평네거리 일대는 백곡(百穀)이 익어 가던 넓은 농지였다. 「고야화서」는 『대구팔경시집(大邱八景詩集)』에 다수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2015년 발행한 『국역 대구팔경 한시집』에서는 「고야화서」를 「고야 들판의 벼」라고 표기하였다.
「고야화서」는 『대구팔경시집』에 칠언절구(七言絶句) 182수(首)가 수록되어 있다.
『대구팔경시집』에서는 고야 들판을 아래와 같이 묘사하고 있다.
“고야들은 대구부 서북쪽에 있는데, 땅이 비록하고 남향이어서 온갖 곡식이 무르익는다[古野在大邱府西北 土沃而向陽 百穀成熟].”
『대구팔경시집』에 수록된 고야 들판에 대한 대부분의 시들은 고야 들판의 풍년을 기원하고 시절의 여유로움을 읊고 있다. 광복 후 유림들의 정서와 기대가 시에 담겨져 있다.
「고야화서도(古野禾黍圖)」가 있어 과거 만평네거리 일대의 풍광을 상상하여 볼 수 있다.
『대구팔경시집』에는 당시 대구 지식인들이 총망라되어 있다. 조선 전기 서거정(徐居正)[1420~1488]의 「대구십영(大邱十詠)」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구 지역 명승지를 한시로 노래하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과거 만평네거리 일대의 풍광을 시를 통하여 그려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