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570 |
---|---|
한자 | 大峯集序 |
영어공식명칭 | Daebongjip Prefac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곽명재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712년 - 「대봉집서」 저자 안정복 출생 |
---|---|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 1786년![]() |
저자 몰년 시기/일시 | 1791년 - 「대봉집서」 저자 안정복 사망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900년 - 『순암집』에 「대봉집서」 수록하여 간행 |
배경 지역 | 「대봉집서」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
성격 | 서발류|서문 |
작가 | 안정복 |
1786년 학자 안정복이 대구의 오천서원에 제향된 양희지의 『대봉집』에 부쳐 집필한 서문.
「대봉집서(大峯集序)」의 저자 안정복(安鼎福)[1712~1791]의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자는 백순(百順)이며, 호는 순암(順庵)이다. 아버지는 안극(安極)[1696~1754]이고,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 이익령(李益齡)의 딸이다. 이익(李瀷)[1681~1763]의 문인이다. 경학(經學)과 사학(史學)에 특출났다. 조선 후기 실학자로 분류되며 가학(家學)의 영향으로 보수색이 짙다. 이병휴(李秉休)[1710~1776], 이상정(李象靖)[1711~1781] 등과 교유하였다. 『동사강목(東史綱目)』을 포함한 수많은 저서가 전하여 온다.
『대봉집(大峯集)』은 양희지(楊熙止)[1439~1504]의 저서이다. 양희지의 본관은 중화(中和)이고, 자는 가행(可行)·정보(楨父)이며, 호는 대봉(大峰)이다. 아버지는 양맹순(楊孟淳)이고, 어머니는 나주정씨(羅州鄭氏) 정시교(鄭是僑)의 딸이다.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문인이다. 서거정(徐居正)[1420~1488], 김굉필(金宏弼)[1454~1504] 등 조선 전기 명신들과 교유하였다.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의 오천서원(梧川書院)에 제향되었다.
「대봉집서」는 문장의 가치, 서문을 쓰게 된 계기, 양희지의 공적 등을 서술하고 있다.
「대봉집서」의 서두에서 안정복은 고인의 언행과 인격을 논하기 위하여서는 남겨 놓은 사적을 참고하여야 하면서 문장의 가치를 논하고, 양희지의 외손인 이천섭(李天燮)의 부탁으로 서문을 짓게 되었다고 밝힌다.
본문에서는 양희지의 성품과 공적을 알 수 있는 일화를 열거하였다. 성종(成宗)[1457~1494] 대에 임사홍(任士洪)[1445~1506]의 참수를 청하는 소(疏)와 김언신(金彦辛)의 구명, 척불(斥佛)하는 차자 등을 올려 잘못된 일을 바로잡는 것을 자신의 소신으로 삼은 양희지의 일화를 제시하였다. 또 연산군(燕山君)[1476~1506] 대에 대사간(大司諫)으로서 상소로 6조목을 아뢴 일, 무오사화(戊午士禍)[1498]로 인하여 서북도에 안치된 자들의 귀양지를 옮겨 줄 것을 청한 일 등을 열거하여 양희지의 정충대절(貞忠大節)을 높였다.
「대봉집서」 결문에서는 교유한 벗들을 차례로 열거하여 양희지의 어짊을 드러내고, 양희지에 대한 제가(諸賢)의 비평으로 글을 마무리하였다.
「대봉집서」 말미에는 성종, 정여창(鄭汝昌)[1450~1504], 남효온(南孝溫)[1454~1492], 남곤(南袞)[1471~1527], 표연말(表沿沫)[1449~1498]의 양희지에 대한 비평이 있다.
「대봉집서」는 양희지가 죽고 300여 년 뒤에 지어진 것인데, 안정복이 정제된 문장으로 『대봉집』을 소개하고 있다. 양희지의 문학적 면모를 300여 년 뒤에 재조명하며 『대봉집』의 가치를 드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