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372 |
---|---|
한자 | 新武洞三省庵址磨崖藥師如來立像 |
영어공식명칭 | Rock-carved Standing Bhaisajyaguru Buddha of Samseongam Site in Sinmu-dong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산16 |
시대 | 고려/고려 전기 |
집필자 | 최재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8년 5월 30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
현 소장처 |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산16번지
![]() |
원소재지 |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산16번지 |
성격 | 불상 |
재질 | 암반 |
크기(높이) | 3.6m[높이]|2.2m[폭] |
관리자 | 대구광역시 동구청 |
문화재 지정 번호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팔공산 자락 자연암반에 조각되어 있는 고려초기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약사여래입상.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은 1988년 5월 30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고 높이 3.6m, 폭 2.2m이다.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은 비스듬히 기울어진 자연암반에 부조(浮彫)[돋을새김]되어 있다. 민머리 위 상투 모양의 머리 묶음이 커다랗게 표현되어 있고, 귀는 얼굴보다 아래로 길게 표현되어 있다. 얼굴은 볼과 턱 부분이 비만형이고 눈썹은 둥글고 눈은 위엄있게 보인다. 코는 닳아서 현재는 납작하며, 굳게 다문 입 모양도 위엄있게 표현되었다. 어깨는 약간 올라간 듯 부자연스럽고, 가슴은 평면적으로 표현되어 전반적으로 경직된 모습이다. 오른손은 곧게 아래로 내려서 법의[승려가 입는 옷] 자락을 잡고 있다. 왼손은 가슴까지 올려 약그릇을 받쳐 들고 있다. 다소 두텁게 표현된 법의는 통견의[어깨에 걸쳐진 옷]로 가슴을 많이 노출시켰고, 앞자락은 수직으로 무릎 아래까지 U자형으로 늘어지게 표현하였다.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은 마모 때문인지 현재 무릎 이하는 그 형태를 알아볼 수 없다. 얼굴이 지나치게 풍만하게 표현되어 있다. 신체가 경직되어 있고, 옷자락의 표현이 도식화된 점 등에서 고려초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보고 있다.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은 풍화작용과 이끼 등으로 인해 표면 마모와 손상이 심해 윤곽이 전반적으로 선명하게 보이지는 않지만, 전체적인 표현에서 당나라풍의 용모가 엿보이는 불상이다.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은 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로 마애불 표현 기법이 변화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좋은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