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383 |
---|---|
한자 | 桐華寺 浮屠庵神衆幀 |
영어공식명칭 | Sinjung Altar Portrait of Buddha at Yeombulam of Donghwasa Temple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1길 1[도학동 3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고소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6년 4월 20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동화사부도암신중탱,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 |
현 소장처 | 동화사부도암신중탱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680
![]() |
원소재지 | 동화사부도암신중탱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237길 147[도학동 산124-1] |
성격 | 불화 |
소유자 | 동화사 |
관리자 | 동화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 부도암 관음전에 있는 조선후기 불화.
대구 동화사 부도암 관음전에 소장된 호법신을 묘사한 불화이다. 『조선사찰사료』와 「동화사 사적비」에 의하면 동화사 부도암은 1658년(효종 9)에 도오 화주가 창건하고, 1790년(정조 14)에 춘성 화주가 중수하였다고 전한다.
동화사부도암신중탱은 1폭에 상하 2단 구도로 구성되어 있다. 신중들의 자연스러운 자세 등이 돋보인다.
동화사부도암신중탱은 전형적인 조선후기 19세기 불화로 시대적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조선후기 불화가 갖는 형태나 색채의 산만함이 없이 표현이 섬세하고 채색 또한 차분하여 인체표현에 무리가 없다.
동화사부도암신중탱은 형태의 단아함 등 구성이 짜임새 있으며 색상도 아름다워 불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2006년 4월 20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8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