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916 |
---|---|
한자 | 金判慶 |
영어공식명칭 | Kim Pangyeong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남정원 |
일제 강점기 달성군 현풍면[현 현풍읍]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경상북도 달성군 현풍면 하동에서 태어난 김판경(金判慶)[1903~?]은 1916년 공립 보통 학교를 졸업하고 농업에 종사하였다. 김판경은 3·1 운동 다음해인 1920년 11월 11일 자신의 집에서 2절지 크기 종이 2장에 『대한 독립 만세』라는 제목의 노래를 적어 면사무소 시판에 부착하였다. 김판경은 이 운동으로 일제 관헌에 체포되어 1921년 8월 29일 대구 지방 법원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8개월을 선고받고 대구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김판경이 지은 『대한 독립 만세』는 "대한의 동포들이여 나의 하는 말을 들으라. 가정부(假政府)의 충신은 창검 끝에 생명을 걸고 대한 독립운동을 한다. 초로와 같은 우리 인생은 청춘 시기를 허송하다가 노년에 이르면 용진할 수 없고, 우리 반도의 독립에는 미국의 동정 조력이 있을 것이다. 나팔소리와 함께 정진 대한 정진하라"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