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1286 |
---|---|
한자 | 朴之運 妻 昌寧成氏 |
분야 |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효자·열녀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홍수 |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도호부 출신의 열녀.
밀양(密陽) 사람인 박지운(朴之運)의 처 창녕성씨(昌寧成氏)는 나이 18세에 혼례를 치른 지 얼마 안 되어 남편이 죽었다. 그러자 비통한 마음에 눈을 감고 아무것도 보지 않으며 입을 닫고 곡기를 입에 넣지 않았다. 그런 성씨의 모습이 너무나 애처로워 시아버지가 미음을 마시고 기운을 차려 눈을 뜰 것을 권하자 이렇게 말하였다. “지아비가 이미 죽었는데 눈을 뜬들 무엇을 볼 것이며 음식을 먹은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아버님께서 내려 주신 것을 제가 감히 받지 않으면 불효일 것이니 공경히 한 숟가락을 받겠습니다.”
하지만 성씨는 이내 삼킨 미음을 도로 토하였다. 성씨는 가까스로 눈을 뜨고 자신을 애처롭게 내려다보는 시아버지를 우러러보며 이렇게 말하였다. “어버이의 얼굴을 한 번 자세히 살펴보고, 이제 지하에서 천년 동안 받들어 섬기고자 합니다.” 성씨는 다시 입을 봉하고 눈을 감았다. 그렇게 그녀는 죽과 물을 끊더니 마침내 11일 만에 자진(自盡)하였다.
1794년(정조 18)에 정려(旌閭)를 내려 후손들이 건립한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 겹처마에 박공(牔栱)지붕으로 된 열부 창녕성씨 정려각(烈婦昌寧成氏旌閭閣)이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에 있다. 이곳에는 정조(正祖)가 하사(下賜)한 정려(旌閭) 이외에 정려각(旌閭閣)을 세울 당시의 기문(記文)과 근래에 세운 높이 135㎝, 폭 47㎝, 두께 16㎝의 오석(烏石)으로 된 비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