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1639 |
---|---|
한자 | - 墓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송촌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은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송촌리에서 함박꽃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함박꽃이 핀 묘」는 산에 함박꽃이 많이 피었다고 하여 함박골이라고 부른다는 지명 유래 전설이다. 비슬산 지역에 많이 자생하는 함박꽃이 좋은 기운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는 지역민의 믿음을 담고 있다.
2001년 김광순이 편찬하고 국학 자료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문학』에 실려 있다. 2014년 달성 문화 재단과 달성 군지 간행 위원회에서 간행한 『대구의 뿌리 달성』에도 같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송촌리에는 배씨들이 많이 살았는데, 여기에 곽씨들의 종중산이 있었다. 어느 때 본리리에 살던 곽씨가 송촌리 종중산에 묘를 썼다. 그런데 곽씨가 묘를 쓴 이후로 송촌리에는 해마다 흉년이 들었다. 견디다 못한 송촌리 사람들은 자기네 마을에 흉년이 든 것은 곽씨가 묘를 썼기 때문이라고 하며 곽씨들에게 묘를 이장해 줄 것을 요구했다. 두 마을 주민이 함께 곽씨 묘를 팠는데 관을 들어내니 관 밑에 함박꽃이 피어 있었다. 그 후로 송촌리에는 풍년이 들고, 몇 년이 지나자 그 산에 함박꽃이 많이 피게 되었다. 그래서 그 골짜기를 함박골이라 부르게 되었다.
「함박꽃이 핀 묘」의 주요 모티프는 '종중산(宗中山)의 지맥 끊기', ' 지맥 잇기' 등이다. 「함박꽃이 핀 묘」는 곽씨가 송촌리 종중산에 묘를 써서 풍수지리상 지맥[명당]을 훼손하자 송촌리에는 해마다 흉년이 들었고, 곽씨의 묘를 이장하려고 관을 들어내어 지맥을 복구시키자 다시 풍년이 들었을 뿐만 아니라 산에 함박꽃이 많이 피었다는 풍수 전설이기도 하다. 「함박꽃이 핀 묘」는 풍수지리상 명당자리인 종중산과 함박꽃이 지닌 영험한 기운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