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461 |
---|---|
한자 | 大邱 松亭洞 水口- |
영어공식명칭 | Sugumaeki of Songjeong-dong, Daegu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 62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손경희 |
현 소재지 | 대구 송정동 수구맥이 -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 627
![]() |
---|---|
원소재지 | 대구 송정동 수구맥이 -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 627 |
성격 | 민간 신앙 유적 |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마을에서 이루어졌던 수구맥이와 관련된 소나무
수구맥이는 풍수지리설에 입각해 마을 어귀에서 수구를 막는 특정 자연물을 신격화 해 지칭한다. 수구맥이는 수구멕이, 수구매기, 수구메기, 수구신, 수살맞이, 좌우수살멕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영남지방에서는 동신(洞神)을 흔히 ‘골맥이’니 ‘수구맥이’니 ‘동맥이’니 한다.
대구 송정동 수구맥이는 대구광역시 동구 당정마을 입구에 자리잡은 서낭당 소나무이다. 이 소나무는 유일하게 노거수(老巨樹)로 오랫동안 조성, 보호되어 오다가 조선 중기에 들어와 모두 말라 죽고 그 후에 마을 사람들이 소나무를 다시 심어 오늘날에 이르렀다고 한다.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서 북편으로 1㎞ 정도 가면 당정마을이 나온다. 당정마을 입구에 대구 송정동 수구맥이가 있다. 대구 송정동 수구맥이는 하천을 동서로 가로질러 쌓아 만들었다. 마을 주민의 말에 의하면 마을 내부가 밖에서 잘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하였다고 한다.
대구광역시 동구 송정동에는 2006년까지는 대구 송정동 수구맥이가 존재하고 있었으나, 2017년 현재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구광역시 동구 도덕마을과 함께 동구 지역에 수구맥이 민간 신앙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장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