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0853
한자 社會
영어공식명칭 Society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재요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인간의 조직화된 집단.

[개설]

사회는 인간의 집합체인 동시에 인간이 모여서 공동생활을 하는 장(場)이다. 인간과 사회는 둘이 동시에 존재할 때에만 양쪽 모두 의미를 갖게 된다. 그래서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일컫고 이 말은 인간은 사회를 벗어나서는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누릴 수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런 사회라는 말 속에는 가족·마을·조합·계급·정당·회사·조직·집단 등을 포함하는 국가나, 지구촌 전체인 세계를 총괄하는 인류 사회 모두를 아우를 수 있다. 그런데 근대 이후 통상적으로 사회라 함은 국가 단위의 사회를 의미하며, 한 국가 내부의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일상생활 단위의 사회를 지역 사회로 정의한다. 동일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지역에 대한 소속감을 가지고 인간관계를 유지하며 일상생활을 공유하는 집단으로 이웃·촌락·도시 등을 지역사회 혹은 지역 공동체라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구광역시 동구의 사회라 함은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의 사회’와 동일한 의미로써, 대구광역시 동구를 기반으로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지역 공동체’를 의미하게 된다.

한편 사회 내에서는 사회를 구성하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중시하는 가치[이를테면 건강·가족의 화목·안전·쾌적한 환경·양성평등·균형 발전 등]를 위협하는 사회적 조건들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는 인간의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장이면서도 그 속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도 사유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인간이 향유하고 있는 모든 ‘사회제도(社會制度)’는 개인 문제와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주된 목적을 두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 사회의 지속성과 사회화를 담당하는 가족제도, 사회통합에 관련하는 종교 제도, 생산·분배·소비를 아우르는 경제제도, 사회통제와 질서유지를 담당하는 정치제도, 공동체의 유지와 상부상조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제도 등이 사회를 구성하고, 또 사회 내의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각종 사회제도들의 원활한 기능 수행은 사회[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는 지역사회]의 지속성을 위한 중요한 요건이기도 하다.

[대구 사회의 변화]

대구는 삼국시대에는 달구불(達句火) 또는 달구벌(達句伐)로 불리다가 757년(경덕왕 16)에 대구(大丘)로 개칭되었다. 1143년(인종 21)에는 대구현(大丘縣)에 현령관이 파견되었고, 1419년(세종 1)에는 대구현(大丘縣)이 대구군(大丘郡)으로, 1466년(세조 12)에는 대구도호부(大丘都護府)로 승격되었다. 특히 1601년(선조 34)에는 경상도의 행정, 산업, 군수를 총괄하는 경상감영이 설치되어 정치·경제·문화 전 분야에 걸쳐 영남지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현재와 같은 ‘대구(大邱)’라는 한자 명칭이 사용된 것은 1778년(정조 2)부터이다. 그리고 일제강점이 시작되던 1910년에는 대구부(大邱府)가 설치된 바 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 8월 15일 대구시(大邱市)로, 1981년 7월 1일에는 직할시(直轄市)로 승격되면서 월배·성서·공산 지역을 비롯해 칠곡·안심·고산지역을 편입하여 시역이 454.9㎢로 확장된 데 이어, 1995년에는 달성군 전역을 편입하면서 시역이 885.6 ㎢로 크게 늘어나게 되어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로 개칭하였다. 1995년 7월 1일 본격적으로 지방자치가 실시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 세계적인 ‘섬유 패션도시’, 쾌적하고 푸른 ‘숲의 도시’를 꿈꾸는 250만 대구 시민들이 세계 속의 일류도시로의 힘찬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대구광역시 동구는 일제강점기인 1938년 ‘대구부 동부출장소’가 설치된 것에서부터, 1963년 1월 1일 구제(區制) 실시에 따라 ‘대구시 동구’로 된 이래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는 팔공산(八公山)이 소재하며 동화사·파계사·부인사·갓바위·불로고분군 등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역사 문화 도시이자 182㎢의 넓은 면적[광주 광산구에 이어 전국 자치구 중 두 번째로 넓은 면적 보유]을 지닌 도농복합도시로써 대구국제공항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소재하고, 사통팔달의 고속도로망이 연결된 영남권 광역교통의 핵심 도시라는 사회적 위상을 지니고 있다. 나아가 대구혁신도시, 첨단의료복합단지, 이시아폴리스 등 대형 국·시책 프로젝트 사업으로 대구·경북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신성장 동력 도시로서 활발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인구학적 특성]

대구광역시 동구의 인구는 2017년 말 기준으로 34만 9379명으로 남성은 17만 3301명, 여성은 17만 6078명이다. 외국인 거주자는 1,834명으로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아시아 출신의 거주자가 많다. 세대 당 인구수는 2.35명이며, 인구밀도[1㎢ 안의 인구수]는 1,929명이다. 그리고 인구 증가율은 -0.56%로 2017년 말 현재 처음으로 축소되었다. 관련 인구 추이를 보면 2012년 34만 2092명, 2013년 34만 3802명, 2014년 34만 7975명, 2015년 34만 9728명, 2016년 35만 1352명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7년 34만 9379명으로 축소되었다. 한편 2017년 말 기준 연령별 인구분포에서 60대가 4만 6198명[13.22%], 70대 이상이 3만 8628명[11.06%]으로 집계되어,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는 노인인구가 14% 이상인 고령사회에 접어들었고, 의료기술 등의 발전으로 향후에도 계속 노령인구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지역사회에서의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 관련 시설, 이를테면 장기요양시설, 의료복지시설, 은퇴자 등을 위한 지역 발전 차원의 종합 복지타운 등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한 비용으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사회복지예산 확보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 자본 증대를 통한 시민자원의 개발이 요청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의 복지정책]

대구광역시 동구에서는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주민생활복지에 힘을 쓰고 있다. 주민복리 증진을 위한 주민생활지원 및 사회복지서비스를 민·관 협력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고, 복지 지원체계를 장애인복지, 노인 복지, 여성 복지, 아동·청소년 복지, 보육지원 등으로 분류하여 보다 세부적인 수준에서의 복지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의 사회복지시설로는 7개의 장애인 복지시설, 45개의 노인복지시설, 8개의 아동복지시설, 5개의 종합사회복지관, 215개의 보육 시설[어린이집] 등이 있다. 사회복지 보호 대상자로서 대구광역시 동구의 기초 생활 보장수급자는 16,203명이다[2016년 12월 31일 기준]. 또한 대구광역시 동구에서는 일자리 창출과 각종 일자리 관련 업무 담당 기구로서 대구동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2016년에 개소하여 운영 중에 있다. 취업지원 및 실업급여제공, 취업성공패키지 사업, 복지 상담 등의 업무를 통해 지역 고용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는 사회문제로서의 노동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주민생활 복지의 한 형태로도 볼 수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에서는 각종의 사회문제들, 이를테면 빈곤문제 해결을 위해 국민 기초 생활보장제를 지역 수준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노인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재가 노인 급식지원 사업·노인 돌봄 종합 서비스·노인복지 회관 운영 등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그밖에 여성문제 해결을 위해 여성 복지의 틀에서 가정폭력 상담소와 여성교육 시설의 운영 및 한 부모 가족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고,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동구자원재활용센터를 운영함과 동시에 도시 녹화를 위한 녹지 조성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주민 여가생활의 녹색생활환경 조성, 개발과 보전이 공존하는 자원순환형 사회, 맑고 깨끗한 대기환경체계 구축은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지역사회의 전략이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지속 가능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지역사회가 직면한 주요한 사회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구광역시 동구에서는 금호강동대구역을 중심으로 한 기성 시가지와 택지 개발사업을 통한 주택지 조성지역으로 대규모 개발계획[이시아폴리스, 혁신도시, K2 이전지 개발사업 등]을 수립·시행한 바 있다. 이와 연동하여 혁신도시 등의 입주로 인해 향후 지역사회에서 더욱 늘어나게 될 청장년층의 사회적 유입인구를 위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이 시급하다. 부모의 비용 부담을 줄이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보장하며,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보육환경 마련을 위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은 지역사회의 인구구조 변화에 대처하는 중요한 사회정책이라 할 수 있다. 혁신도시 건설에 따른 수요 증가를 맞추려는 노력에 따라 2016년 12월 31일 기준 대구광역시 동구의 국공립 어린이집의 개수는 15개로서, 과거보다 늘어난 측면이 있지만 앞으로도 훨씬 더 많은 형태의 국공립 어린이집이 필요하다.

[대구의 정치사회적 갈등과 지역사회의 대응]

대구에서 발생한 정치사회적 갈등과 이에 관한 지역사회의 대응을 몇몇 사례를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부인동동약: 부인동동약(夫仁洞 洞約)은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부(大丘府) 해북촌면(解北村面) 부인동에서 실시된 향약의 일종으로, 1739년(영조 15)에 시작되어 6·25전쟁 전까지 200년 가까이 유지됐다는 대구 ‘부인동(夫仁洞) 네 마을 동약(洞約)’을 말한다. 부인동공산댐 안쪽인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용수동·신무동 일대로 알려져 있다. 부인동동약은 조선에서 가장 오랫동안 시행된 향약 중 하나로 꼽히며, 덕업상권(德業相勸), 예속상교(禮俗相敎), 과실상규(過失相規), 환난상휼(患難相恤) 등과 같은 향약의 전통적인 덕목 외에도, 선공고(先公庫)와 휼빈고(卹貧庫)를 함께 설치하여 농민들의 삶을 안정시킨 바탕 위에서 실시되었다. 이러한 부인동동약을 통해서는, 향촌을 인(仁)·의(義)가 흐르고 상호 협조하는 유교적 이상공동체로 건설하기 위한 선조들의 정신을 읽을 수 있다. 이는 향촌사회의 갈등에 관한 하나의 대응이기도 했다.

2. 2·28 대구민주운동: 1960년 이승만 자유당 독재정권의 횡포와 부패에 맞서 학생들이 거리에 나와 항거했던 2·28 대구민주운동은 지역사회에서 발발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운동으로서 그 역사적 의미가 크다. 2·28은 당시 참여주체가 지역의 고등학생들이었지만 그 시대의 부모, 형제 가족의 암묵적 동의와 대구 시민의 시대정신을 담은 반독재 민주운동의 분출이었으며, 이는 3·15 마산 의거와 4·19혁명의 도화선으로 작용했다. 2·28민주운동은 독재와 부정에 저항한 반독재 민주화운동에 관한 대구 시민정신의 표출이었고, 국가의 민주적 정통성을 심는 선구적 역할을 한 자랑스러운 지역사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2·28 대구민주운동은 지역에서 100만인 서명을 받는 등 국가기념일 지정을 추진한 노력에 힘입어 2018년 초 국가기념일[민주화운동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이것은 3·15의거 기념일, 4·19혁명 기념일, 5·18민주화운동 기념일, 6·10민주항쟁 기념일에 이어 민주화운동으로는 5번째로 지정되는 국가기념일이다.

3. 안심뉴타운 개발: 대구광역시 동구는 연탄공장과 시멘트 공장이 밀집하여 지역의 대표적인 환경 오염지대라는 오명을 얻었던 ‘안심연료단지’를 폐쇄하고, 이 터에 주택·상업·유통이 결합된 ‘안심뉴타운’을 조성하기 시작하였다. 안심뉴타운 조성은 지역의 환경문제와 주거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사회정책적 대응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안심뉴타운 개발을 위한 기존 시설의 철거 과정에서, 안심연료단지 내 연탄업체 대한 토지보상과 대체부지 공급 문제로 대구시와 업체 간 갈등을 빚었다. 그러나 서로간의 합의점을 도출해 2017년 10월 지장물 철거공사를 시작으로 안심뉴타운 개발이 시작되어 2018년 4월에는 기공식을 가졌다.

4. K2·대구공항 이전문제: 대구광역시 동구는 공항 시설 [K2·대구공항] 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소음 피해 및 부지 활용에 관한 재산권 침해가 사회문제로서 꾸준히 다루어져 왔다. 80여 년간 전투기와 항공기의 소음에 시달려온 지역주민들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는 마침내 공항 시설에 대한 정부 차원의 이전 방침을 이끌어냈다. 이에 따라 기존 공항 시설의 후적지를 주거 및 경제시설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소음으로 인한 지역주민의 고통도 상당 부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이전부지 선정과 K2·대구공항 이전의 수준을 둘러싼 갈등[K2·대구공항 통합 이전, 대구공항 존치 K2 별도 이전 간의 대립]이 나타나고 있다. 대구광역시에서는 공항 통합 이전을 추진하려고 하지만, 지역주민의 일부는 대구공항은 존치시키고 K2만 별도 이전하자는 의견에 찬성하고 있어, 향후 주민 투표 실시와 같은 지역 차원의 대응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