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555 |
---|---|
한자 | 尙火路 |
영어공식명칭 | Sanghwa-r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수성구 상동|두산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태윤 |
전구간 | 상화로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수성구 상동|두산동 |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상화로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수성구 상동|두산동![]() |
성격 | 도로 |
길이 | 1.6㎞ |
차선 | 왕복 2차선 |
폭 | 13m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에서 수성구 두산동을 연결하는 도로.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상동교서편네거리에서, 수성구 상동 상동교동편네거리, 청운신협앞교차로, 떡보의하루수성점앞네거리를 지나 수성구 두산동 IBK기업은행수성트럼프월드삼거리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빼앗긴 들’의 시적 모태가 된 수성들판을 상징성으로 나타낸 대구의 대표 민족시인인 이상화를 기리기 위하여 ‘상화로’로 칭하여졌다.
상동교동편편네거리에서 IBK기업은행수성트럼프월드삼거리까지 이어진 도로이며, 연장은 1.6㎞, 폭은 13m, 차선은 왕복 2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행 최대 제한 속도는 대부분 시속 50㎞이다. 그리고 청운신협앞교차로에서 상동교동편편네거리까지는 상동교 방향으로 일방통행로이다.
상화로는 상동, 두산동의 중심 도로이며, 주변의 주거 밀집 지역에 아파트 단지와 상업시설들이 조성되면서 교통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개설되었다.
상화로는 앞산순환로, 신천동로, 수성로, 들안로, 동대구로와 대구도시철도 3호선인 황금역과 수성못역을 연결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상화로 주변에는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1900년경 진씨 문중의 재실로 건립된 한일 절충식 건물 야수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