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800 |
---|---|
한자 | 黃金驛 |
영어공식명칭 | Hwanggeum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100[두산동 968]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경희 |
준공 시기/일시 | 2014년 12월 31일 - 황금역 준공 |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15년 4월 23일![]() |
최초 설립지 | 황금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100[두산동 968] |
현 소재지 | 황금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100[두산동 968]![]() |
성격 | 전철역 |
면적 | 2,425.305㎡[역사 전체 면적]|893.29㎡[지상 2층 면적]|1,260.48㎡[지상 3층 면적]|271.54㎡[기타 면적] |
전화 | 053-327-1671 |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에 있는 대구도시철도 3호선의 전철역.
황금역(黃金驛)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에 있으며, 대구도시철도 3호선의 337번 역이다. 역명과는 달리 황금역은 두산동에 있으며, 역 건너편이 황금동과 지산동이다. 역명은 황금동의 ‘황금’에서 유래되었다.
1990년 10월 교통부에 대구지하철 건설 및 운영 기본계획을 제출하였고, 1991년 1월 1단계로 3개 노선이 확정되었다. 이에 대구도시철도 3호선 칠곡~범물 21.5㎞가 승인되었다. 이후 2003년 1월 기본계획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거친 후, 2008년 5월 구간은 북구 칠곡~명덕네거리~수성구 범물, 기간은 2006~2014년, 차량 형식은 모노레일 경전철을 내용으로 승인을 받았다. 2009년 6월 대구도시철도 3호선 건설 공사는 8개 공구가 동시에 착공되었다. 이후 2014년 12월 31일 대구도시철도 3호선은 연장 23.95㎞, 정거장 30개소, 차량기지 2개소로 전 구간 동일 준공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시운전을 거쳐 2015년 4월 23일 3호선 전 구간[칠곡경대병원역~용지역 23.95㎞]이 개통되었다.
2013년 10월 2일 ‘황금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 2015년 4월 23일 대구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이 개시되었다.
황금역은 1989년 복개되었던 범어천을 복원사업을 통하여 2009년 생태하천으로 조성한 곳에 있으며, 황금네거리 방향으로 1개의 출입구를 두고 있다. 계단과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다. 지상역으로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 전체 면적은 2,425.305㎡이며, 지상 2층 893.29㎡, 지상 3층 1,260.48㎡, 출입구 등 기타 면적 271.54㎡이다.
황금네거리 남쪽에 있으며 역 주변에 수성SK리더스뷰, 대우트럼프월드아파트 등 고층 아파트가 있고, 수성SK리더스뷰 지하에는 홈플러스 수성점이 있어 역 이용 수요가 있는 편이다. 용지역 방면 첫차는 6시 11분, 막차는 23시 55분, 칠곡경대병원역 방면 첫차는 5시 37분, 막차는 23시 23분에 운행된다. 2019년 기준 월평균 역 이용객은 승차 9만 9225명, 하차 10만 1310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