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1872년 지방지도』 「경산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803
한자 1872年 地方地圖 慶山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Gyeongsan in 1872 Regional Maps
이칭/별칭 『1872년군현지도』「경산지도」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정의]

1872년에 제작된 『1872년지방지도』경상도 경산현의 지도.

[제작 발급 경위]

『1872년지방지도(一八七二年地方地圖)』 「경산지도(慶山地圖)」 는 1872년(고종 9) 경상도 경산현에서 제작하여 경상감영(慶尙監營)에서 수합한 지도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당시 지방의 실정을 파악하기 위해 지방 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면서 「경산지도」가 제작되었다.

[형태]

『1872년지방지도』 「경산지도」 는 크기가 세로 113.0㎝, 가로 86.0㎝이다. 지도의 아래쪽이 북쪽이고, 위쪽이 남쪽이다.

[구성/내용]

『1872년지방지도』 「경산지도」 의 읍치에는 성곽을 두른 방형의 읍성을 배치하였으며, 그 안에 객사와 장시가 기재되어 있다. 읍성의 남동쪽에는 향교와 성황단, 동쪽에는 압량역, 서쪽에는 사직단, 북쪽에는 여제단이 있다. 도로는 읍성에서 대구, 하양, 자인, 청도 방향의 대로(大路)와 대구와 하양을 연결하는 북대로(北大路)가 표시되어 있다.

방리는 관문에서부터의 거리까지 함께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 시내 지역인 읍내면에는 읍내사창, 교촌, 대동리, 대정리, 대평리, 동계리, 사정리, 상방리, 옥곡리, 옥산리, 중방리, 중산리, 천동리, 청우리 등이 있다. 또한 경상북도 경산시 시내 및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지역인 동면에는 동면사창, 갑제리, 건흥리, 내동리, 부적리, 신광리, 신대리, 신석리, 의송리, 인각리, 평산리, 현창리 등이 있다. 그리고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지역인 남면에는 남면사창, 구일리, 금곡리, 대명리, 산전리, 송천리, 신방리, 신석리, 신지리, 신흥리, 원동리, 지암리, 하도리, 협석리 등이 있다.

현재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편입된 서면에는 서면사창, 가천리, 고모리, 내곶리, 봉암리, 사월리, 성동리, 송정리, 시지리, 신기리, 외곶리, 욱수리, 이천리 등이 있다. 또 대구광역시 동구에 편입된 북면에는 북면사창, 구암리, 구영리, 금강리, 금계리, 내곡리, 동오리, 마여리, 사복리, 서오리, 율상리, 율하리 등이 있다.

산지는 독립된 봉우리로 묘사하였는데, 북쪽 경계에는 팔공산, 서쪽 경계에는 동학산, 남쪽 경계에는 마안산, 동쪽 경계에는 현성산 등이 있다. 시장은 읍성 내 장시 외에도 북면에 북장시(北場市)가 있다.

하천은 읍성의 북쪽으로 금호강이 흐르며, 경산현의 남쪽에서 읍성 서쪽을 지나 북류하는 남천수(南川水)과 오목천이 금호강의 지류를 이룬다. 현재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에 있는, 이황(李滉)[1501~1570]과 정경세(鄭經世)[1563~1633]를 배향한 고산서원은 당시 훼철되었기 때문에 구기(舊基)로 기록되어 있다. 사찰은 경흥사·내원암·안흥암 등이 있고, 백자암·쌍계사·여불암 등은 「경산지도」 제작 당시 없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1872년지방지도』는 고종대 중앙 집권 통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1871년에 실시된 전국 읍지 편찬 사업과 함께 추진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1872년지방지도』「경산지도」는 이전 시기에 제작된 군현지도보다 큰 규격으로 작성되었으며, 현재 전하는 다른 경산현의 지도에 비해 방리 지명이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