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025
한자 驛院
이칭/별칭 역참(驛站)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재두

[정의]

대구 지역에서 조선시대 국가의 공적인 육상교통의 동맥 역할을 하였던 역과 원.

[내용]

국가의 공적인 도로망인 역(驛)은 왕명과 공문서의 전달, 외국 사신과 공무 여행자들의 편의 제공, 공공 물자의 운송 등 육상교통의 동맥 역할을 하였다. 대구광역시 영역에는 조선 초기 5곳의 역이 있었다. 대구부 관아에서 동으로 9리 수성현 범어역, 하빈현의 서쪽 1리 신역(新驛)인 금천역(琴川驛), 현풍현 북쪽 5리 쌍산역(雙山驛), 성주목 화원현 서쪽 5리 설화역(舌化驛), 팔거현 서쪽 5리 신역인 고평역(高平驛)이었다.

원(院)은 역과 역 사이에서 교통로를 잇는 중요한 지점이었다. 공무로 여행하는 사람에게 숙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요한 길목에 설치한 편의 시설이었다. 조선시대에는 대개 30리[약 48㎞]에 하나씩 두었으나, 지형 조건에 따라 원과 원 사이는 평지에서는 거리가 다소 멀고, 산악지대에서는 가까웠다. 16세기 전후 공무 여행자의 숙식을 각 고을의 객사나 역에서 맡거나 민간 업자가 위탁받아 대행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리하여 원은 거의 황폐하여졌고, 여행자들은 민간에서 사사로이 개설한 점(店)[주점, 주막]을 이용하였다. 점은 대개 원 터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원의 이름이 점이 된 곳이 많았다.

대구부에는 부내에 낙중원(洛中院)·대로원(大櫓院)·사부원(沙阜院)·관방원(觀方院)이 있었으며, 하빈현에는 마천원(馬川院)·남천원(南川院)·박실원(朴實院)이, 수성현에는 오원(梧院)이 있었다. 성주목 화원현에는 인원(引院)과 흥왕원(興王院)이, 팔거현에는 유원(柳院)과 작원(鵲院)이 있었다. 한편, 경산현의 서쪽 11리[약 17.6㎞]에는 시지원이 있었다. 현풍현에는 풍제원(豐濟院)·소도촌원(所道村院)·장파고원(長破高院)·신원(新院)이 있었다. 조선 후기에는 대부분의 원들이 없어지고, 대구부 남쪽 30리에 있던 오원[오동원]과 현풍현 서쪽 1리[약 1.6㎞]에 있던 수철원(水鐵院)[원래 풍제원]만 운영되고 있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