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225 |
---|---|
한자 | 大邱經濟正義實踐市民聯合 |
영어공식명칭 | C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and Justice. Daegu |
이칭/별칭 | 대구경실련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414길 31[남산동 569-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정원 |
설립 시기/일시 | 1990년 6월![]() |
---|---|
이전 시기/일시 | 2014년 4월 -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2동 222-8에서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569-2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원로1길 5[범어2동 222-8] 흥사단회관 1층![]() |
현 소재지 |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414길 31[남산동 569-2] 3층![]() |
성격 | 사회운동단체 |
전화 | 053-754-2533 |
홈페이지 | http://www.ccej.daegu.kr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는 지역 경제 정의 실현을 목적으로 결성한 시민 단체.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구경실련]은 첫 번째 지역 경실련으로 1990년 6월 2일에 결성되었다. 초창기 한두 해 동안은 하나의 시민운동 조직이라기보다 ‘경제정의 실현’을 위한 연대 기구의 성격이 강하였다. 활동도 지역사회의 요구나 필요성보다는 중앙 경실련의 활동과 위상에 힘입어 중앙 경실련이 설정한 이슈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곧 경실련 운동을 하는 전문가와 시민들의 참여가 확대되면서 마인드가 형성되고 실무 구조가 안정화되며 명실상부한 시민운동 조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지역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대구경실련식 운동’을 정착시키며, 대구 지역의 대표적인 시민운동 조직으로 성장하였다.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이 사회에 범람하고 있는 경제적 불의를 척결하고 경제정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부동산 투기, 정경유착, 불로소득과 탈세를 공인하는 금융가명제, 극심한 소득격차, 불공정한 노사관계, 농촌과 중소기업의 피폐 및 이 모든 것들의 결과인 부와 소득의 불공정한 분배, 그리고 재벌로의 경제력 집중, 사치와 향락, 공해 등 이 사회의 경제적 불의를 척결하고 경제정의를 실현함이 목적이다.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990년 6월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2동 222-8 흥사단회관 1층에서 출범하였으며, 2014년 4월 현재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569-2 3층으로 이전하였다.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반부패 활동, 지방정부 감사, 선거 및 행정개혁. 환경 및 도시 공간, 경제적 약자 보호 등 경제정의 실현을 위한 제반 활동을 하고 있다.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대표적인 활동은 2004년 대구 4차 순환도로[상인-범물] 민간투자 시설 사업에 대한 대응과 2005년 밀라노 프로젝트 등 비리에 대한 고발 및 진정, 감사 청구, 정책 제안 등이 있다.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일반 회원과 후원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직 후보자 신고 재산 검증 활동, 공직자윤리법, 공직선거법 개정 요구 활동 등을 전개하고 있다.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불평등한 경제구조와 경제정의 실현을 위하여 활동하는 대구 지역의 대표적인 시민운동단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