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273 |
---|---|
한자 | 大邱防護團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일수 |
설립 시기/일시 | 1937년 6월![]() |
---|---|
해체 시기/일시 | 1939년 9월 24일![]() |
개칭 시기/일시 | 1939년 10월 1일 - 대구방호단 대구경방단에 통합 |
성격 | 관변 단체 |
설립자 | 대구부 |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에서 방공훈련을 위하여 설립된 일본인 중심의 관변 조직.
대구방호단은 공습에 대비한 방공훈련과 공습이 벌어졌을 때 피해를 복구하고 구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37년 6월 설치된 대구방호단은 일제가 전시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소방조와 수방단을 해체하여 경방단으로 통합하기로 하면서 1939년 9월 24일 대구역 광장에서 해단식을 거행하였다. 대구방호단은 1937년 10월 1일 기존의 대구소방조와 함께 대구경방단(大邱警防團)에 통합되었다.
대구방호단의 주요 업무는 방독, 구호, 경호, 교통정리 등이었다. 제1, 제2, 제3 분단으로 편성되었던 대구방호단은 대구경찰서장의 지휘 하에 있었고 화재 현장에서는 소방조 조두(組頭)[대장]의 지휘를 받았다. 대구방호단의 단장은 대구부윤이 맡았고, 부단장과 상담역을 두었다. 대구방호단은 1937년 7월 경상북도청, 대구전매국, 대구형무소 등 주요 건물에 특설 방호반을 설치하였고 1937년 8월에는 공습에 대비한 방공훈련과 등화관제 훈련을 실시하였다.
한편 대구방호단은 1937년 10월 17일 중일전쟁에서 일본군의 스자좡[石家莊] 함락을 기념하는 ‘황군 전첩 봉축기 행렬’에 참가하는가 하면, 1937년 11월 2일에는 상하이[上海] 함락을 기념하여 대구신사까지 ‘상해 전첩등 행렬’을 벌였고, 1938년 10월 22일에는 광둥[廣東] 함락을 기념하는 축하회를 열었다.
대구방호단은 방공훈련을 시행하는 한편 전승 기념행사를 열어 일제의 침략전쟁을 선전하고 옹호하는 활동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