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340 |
---|---|
한자 | 大邱人力車 人夫 紛爭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일수 |
1926년 대구 사판조 인력거조합의 노동자들이 사납금 인하를 요구하며 벌인 노동 쟁의.
1926년 무렵 대구 사판조(寺阪組) 인력거조합 노동자 24명은 낮은 임금에 경기 불황을 이유로 조합에 납부하는 사납금 인하를 요구하며 파업을 전개하였다.
사판조 노동자들의 요구 조건은 하루 사납금 70전을 50전으로 인하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1924년 대구에서 결성된 대구인력거노우회에 대하여 방해 활동을 펼친 경험이 있는 사판조 인력거조합의 운영주인 일본인 다케우치 유헤이[竹內柳平]는 인력거 노동자들의 요구 조건에 불응하였다. 이에 인력거 노동자들이 1926년 2월 4일부터 일제히 파업에 돌입하였다. 다시 진행된 협의에서 사판조 인력거조합에서는 70전에서 10전 인하한 60전을 하루 사납금으로 제시하였으나 노동자들은 거부하며 파업을 이어갔다.
사판조 인력거조합과 노동자들 사이에 협의가 진행되어 차대로 하루 60전을 사판조 인력거조합에 내는 것으로 합의를 이루었다. 1926년 2월 5일부터 인력거 노동자들은 현장에 복귀하여 인력거 운행을 재개하였다.
대구 사판조 인력거 노동자들의 파업은 과도한 사납금으로 인한 노동자들의 열악한 경제생활에 경각심을 불러일으켰고, 노동자들의 요구 조건이 일부 수용된 결과를 낳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