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 6·26평화대행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630
한자 大邱 六·二六平和大行進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87년 6월 26일연표보기 - 대구 6·26평화대행진 시작
성격 사회운동
관련 인물/단체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정의]

1987년 6월 26일 대구에서 4·13호헌 철폐와 선택적 국민투표를 위하여 펼쳐진 국민평화대행진.

[역사적 배경]

1987년 6월 24일에 전두환 대통령과 김영삼 민주당 대표의 영수 회담에서 김영삼 민주당 대표는 ‘4·13호헌 조치 철회’와 ‘선택적 국민투표 실시’를 제시하였으나 전두환 대통령이 ‘개헌 논의 재개’만 약속하자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는 회담이 결렬된 것으로 간주하고 투쟁을 선언하였다.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는 1987년 6월 26일에 전국에서 비폭력 국민평화대행진을 개최할 것을 발표하였다. 대구 6·26평화대행진의 최종 집결지는 2·28기념탑으로 결정되었다.

[경과]

대구 6·26평화대행진은 중앙공원에서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경찰이 중앙공원을 원천 봉쇄하자 국민운동본부 추산 4만 명의 시민이 유신학원 네거리-명덕로터리-수도산에 이르는 거리에서 평화대행진을 개최하였다. 6·26평화대행진은 국민운동본부의 방침대로 비폭력 평화 행진으로 진행되었으나 밤이 깊어지면서 최루탄과 투석이 난무하는 격렬한 시위로 변화하고, 새벽 1시 30분까지 전개되었다. 6·26평화대행진 과정에서 발생한 시위는 반월당, 유신학원, 대구시경, 동아쇼핑, 명덕로터리 등 13곳에서 벌어졌고, 4곳에서 연좌시위가 벌어졌다. 시위 과정에서 학생과 시민 등 40명, 경찰관 28명 등 68명이 부상하였다. 대봉2동 파출소 내부가 전소되는 등 파출소 5개소와 민정당 대구3지구당 사무실의 집기가 부서지거나 불탔다.

[결과]

대구 6·26평화대행진을 비롯한 전국의 평화대행진으로 수십 명이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과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구속되었다. 또 평화대행진은 6월 29일 민정당 노태우 대표의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6·29선언의 직접적 배경이 되었다.

[의의와 평가]

대구 6·26평화대행진은 6·29선언의 직접적 배경이 됨으로써 한국 정치사상 제도적 민주주의의 완성에 이바지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