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무예제보번역속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171
한자 武藝諸譜飜譯續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호산동 산2-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요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610년연표보기 - 무예제보번역속집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2001년 8월 3일연표보기 - 무예제보번역속집 보물 제132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6월 29일 - 무예제보번역속집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소장처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호산동 산2-1]지도보기
성격 군서|병서
편자 최기남
권책 1책
행자 9행 20자
규격 반곽 22.0×14.4㎝
어미 내향화문어미(內向花紋魚尾)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병법서.

[저자]

최기남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흥숙(興叔), 호는 만곡(晩谷)·만옹(晩翁)·양암(養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 최명손(崔命孫)이고, 할아버지는 별제 최업(崔嶪)이고, 아버지는 증좌승지 최수준(崔秀俊)이며, 어머니는 증호조참의 남상질(南尙質)의 딸이다.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602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성균관전적·병조좌랑·지제교(知製敎)·시강원사서와 형조·예조·병조의 정랑·함경북도평사·영흥대도호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사후에 아들 최명길(崔鳴吉)의 인조반정 공훈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임진왜란 직후 선조의 명으로 조정에서는, 절강성(浙江省)에 침입한 왜군을 상대로 연승을 하였던 명장(明將) 척계광(戚繼光)이 편찬한 『기효신서(紀效新書)』의 내용 중에서 왜군의 전투에서 효과를 보았던 원앙진에 쓰이는 무기 위주[6기]로 구성된 『무예제보(武藝諸譜)』를 편찬하였다. 최기남(崔起南)이 여기에서 누락된 것과 부록(附錄)으로 『일본고(日本考)』의 일부를 가려 뽑아 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을 편찬하였다.

[형태/서지]

무예제보번역속집은 1책이며 사주쌍변(四周雙邊)에 반곽 크기가 가로 22.0㎝, 세로 14.4㎝이다. 유계(有界) 19행 20자이며 주쌍행(註雙行), 내향화문어미(內向花紋魚尾)가 있다.

[구성/내용]

무예제보번역속집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권보(拳譜)[주먹으로 치는 보] 42도(圖)와 번역문, 청룡언월도보(靑龍偃月刀譜)와 번역문, 협도곤보(夾刀棍譜)와 번역문, 왜검보(倭劍譜)와 번역문, 신서왜검도(新書倭劍圖), 일본국도(日本國圖) 등이 들어 있다. 그리고 부록(附錄)에는 일본고(日本考), 왜선(倭船), 왜도(倭刀), 정전출행일진(征戰出行日辰), 첩법(捷法), 정행소금(征行所禁)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무예제보번역속집임진왜란 이후 무예와 병법의 내용을 알 수 있는 자료이자 조선 초기나 후기의 다른 병법서와 비교 연구할 수 있는 자료이다. 아울러 근대 국어의 연구나 당시 일본에 대한 정보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무예제보번역속집은 2001년 8월 3일 보물 제1321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