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288 |
---|---|
한자 | 徐思選 |
영어공식명칭 | Seo Saseon |
이칭/별칭 | 정보(精甫),동고(東皐)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병호 |
출생 시기/일시 | 1579년![]() |
---|---|
활동 시기/일시 | 1604년 - 서사선 경산으로 이주하여 동고정사를 엶 |
몰년 시기/일시 | 1636년 - 서사선 예빈시참봉 역임 |
몰년 시기/일시 | 1651년![]() |
추모 시기/일시 | 1786년 - 서사선 옥천서원에 배향 |
출생지 | 대구 - 대구광역시 |
거주|이주지 | 경산 - 경상북도 경산시 |
수학지 | 사수재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 |
묘소|단소 | 서사선 묘소 -
대구광역시 동구 숙천동
![]() |
사당|배향지 | 옥천서원 - 경상북도 경산시 중앙로19길 13[중방동 852-3]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달성(達城) |
대표 관직 | 예빈시참봉 |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학자.
서사선은 예빈시 직장 서필(徐弼)의 증손으로, 조부는 서응기(徐應期)이고, 아버지는 남간(南澗) 서식(徐湜)[1530~1593]이다.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 박란(朴鸞)의 딸이다. 부인은 진산진씨(珍山陳氏) 진문효(陳文孝)의 딸이다. 슬하에 자식이 없어 종형 서사건(徐思建)의 아들로 가계를 이었다.
서사선은 1579년(선조 12) 대구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 때인 1593년 부모가 사망하여 사촌 형인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1550~1615]에게 의탁하여 가르침을 받았다. 이후 서사원의 부임지인 청안까지 따라가 강학을 이어 갔다. 1604년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중방동으로 이주하여 동고정사(東皐精舍)를 열었다.
서사선은 1613년(광해군 5)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614년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가 사수(泗水)[현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에 선사재(仙査齋)를 열고 강학에 나서자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1636년(인조 14)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예빈시참봉을 맡았지만 곧바로 사직하였고, 경산에서 학문과 강학에 매진하다가 1651년(효종 2) 사망하였다.
서사선의 저술로는 『동고문집(東皐文集)』 6권 3책이 전한다. 서사선은 『근사록(近思錄)』, 『주자서(朱子書)』, 『퇴계서(退溪書)』 등의 공부를 이어 갔으며, 특히 심학(心學)을 중심으로 퇴계학을 계승하였다.
서사선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동구 숙천동에 있다.
서사선은 1726년(영조 2) 건립된 경산시 중앙로19길 13[중방동 852-3]의 옥천서원(玉川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