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929 |
---|---|
한자 | 李憲一 |
영어공식명칭 | Lee Heonil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최재성 |
출생 시기/일시 | 1917년 3월 25일 - 이헌일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9월 - 이헌일 광복군 제3지대장의 지령으로 화난 등지에 밀파 |
활동 시기/일시 | 1944년 5월 - 이헌일 난징에 밀파 |
활동 시기/일시 | 1944년 8월 - 이헌일 일본군 내 한인 병사 탈출을 기도 |
활동 시기/일시 | 1945년 2월 - 이헌일 중국 중앙군 10전구 102사단에 배속되어 작전참모로 활동 |
몰년 시기/일시 | 1979년 4월 17일 - 이헌일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990년 - 이헌일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출생지 | 대구 - 대구광역시 |
활동지 | 중국 - 중국 |
묘소 | 국립신암선열공원 4묘역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북로71길 33[신암동 산27-1]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성 |
대표 경력 | 한국광복군 대원 |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이헌일(李憲一)[1917~1979]은 1917년 3월 25일 대구에서 태어났다. 1940년대 초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여 중국 각지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활동 사항]
이헌일은 1943년 9월 광복군 제3지대장의 지령으로 이장식(李張植)·김군남(金君南) 등과 함께 화난[華南]·한난[漢南]·광둥[廣東]·안난[安南]·항저우[抗州]·상하이[上海] 등지에 밀파되어 활동하였다. 1944년 5월 난징[南京]에 밀파되어 공작 중이던 이상일(李想一) 등이 체포되자 공작을 중단하고 귀환하였다. 8월에는 특수공작훈련대에 편입되어 훈련 수료 후 적 후방 지하공작원에 임명되었고, 쉬저우[徐州] 지구에 파견되어 일본군 내 한인 병사 탈출을 도모하였다.
이헌일은 1945년 2월 중국 중앙군 10전구 102사단에 배속되어 작전참모로서 적 후방 유격대 편성 등을 지휘하며 광복 때까지 활약하였다. 광복 직후에는 중국군 제10전구 사령장관부의 요청으로 한국광복군 대원 20명과 함께 일본군 무장해제 업무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이헌일은 1979년 4월 17일 사망하였다.
[묘소]
이헌일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산27-1 국립신암선열공원 4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헌일의 공적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