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434
한자 儒敎
분야 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구본욱

[정의]

대구 지역의 유교와 그 특징.

[개설]

대구 지역의 유학(儒敎)은 여말 선초에 시작되었으며 연경서원(硏經書院)을 중심으로 퇴계학을 중시하는 도학파가 주류를 이루었다.

[여말 선초 대구 지역의 유교]

유교(儒敎)는 고려 말 안향(安珦)[1243~1306]에 의하여 원나라에서 도입되었다. 이때의 유교, 즉 유학은 주자(朱子)의 성리학이다. 고려 말 대구 지역 유학자로는 채귀하(蔡貴河), 서균형(徐鈞衡)[1340~1391], 전백영(全伯英)[1345~1412]을 들 수 있다. 세 사람은 대구에서 태어나 과거에 합격하여 조정에서 함께 관직 생활을 하였다. 모두 영천 출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와 교유하였으며, 서균형은 포은과 과거에 동방(同榜)으로 합격하였다.

그러나 조선의 개국에 이르러 세 사람은 출처(出處)를 달리하였다. 채귀하는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절의를 지켰으며, 전백영은 조선의 조정에 참여하였다. 서균형전백영과 같이 조선의 개국을 지지하였으나 개국 1년 전에 타계하였다. 절의파(節義派)는 유학의 의리정신(義理精神)을 중시하였다면, 개혁파(改革派)는 유학의 경세론(經世論)을 중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성종조에 서거정(徐居正)[1420~1488], 도하(都夏)[1418~1479], 양희지(楊熙止)[1439~1504]가 과거에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모두 경세론을 중시하였으며, 서거정은 오랫동안 문형(文衡)을 역임하였다. 이후 대구 지역의 유학은 채귀하서균형, 전백영의 후손들이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조선시대 대구 지역의 유교]

명종과 선조 대에 이르면 대구 지역에 하나의 학자 그룹, 즉 이전의 유학자와는 달리 수양을 중시하는 도학파(道學派)가 형성된다. 도학파에 속하는 사람은 이숙량(李叔樑)[1519~1592], 서형(徐浻)[1524~1575]·서식(徐湜)[1530~1593] 형제, 전응창(全應昌)[1529~1586]·전경창(全慶昌)[1532~1585] 형제, 채응린(蔡應麟)[1529~1584]·채응룡(蔡應龍)[1530~1574] 종형제, 정사철(鄭師哲)[1530~1593] 등이다. 도학파에 속하는 인물들이 중시한 유학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학문인 퇴계학(退溪學)이다. 이숙량, 전경창, 채응룡퇴계의 제자이고 그 외의 사람은 사숙제자(私淑弟子)이다. 모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으며, 전응창·경창 형제는 문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위 그룹을 대구 유학[성리학]의 1세대라고 하는데, 이후에 사승 관계를 중심으로 2·3세대가 양성되기 때문이다. 1세대 유학자는 1563년(명종 18)에 연경서원을 건립하여 대구 전 지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때 교육받은 사람을 2세대라고 한다. 2세대는 서사원(徐思遠)[1550~1615], 손처눌(孫處訥)[1553~1634],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이주(李輈)[1556~1604], 정광천(鄭光天)[1553~1594] 등이다.

2세대 유학자는 임진왜란 때 의병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소실된 연경서원을 중건하였다. 1605년(선조 38)부터는 통강(通講)을 실시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통강이란 “경전 등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매월 서원에 함께 모여 강(講)[암송]을 하여 스승의 평가를 받는” 유학의 독특한 교육 방법이다. 대구 지역에는 이 당시의 통강을 기록한 『대구유현통강록(大邱儒賢通講錄)』이 전한다.

2세대로부터 교육받은 3세대는 265명에 이른다. 이 중 대표적인 사람을 열거하면 채몽연(蔡夢硯)[1561~1638], 채선수(蔡先修)[1568~1634], 채선견(蔡先見)[1574~1644], 손린(孫遴)[1566~1628], 류시번(柳時藩)[1569~1640], 류사온(柳思溫)[1573~1639], 도성유(都聖兪)[1571~1649], 도여유(都汝兪)[1574~1640], 도경유(都慶兪)[1596~1637], 서시립(徐時立)[1578~1665], 서사선(徐思選)[1579~1651], 이지영(李之英)[1585~1639], 이지화(李之華)[1588~1666], 최동집(崔東㠍)[1586~1661], 박종우(朴宗祐)[1587~1654] 등을 들 수 있다.

[대구 지역 유교의 특징]

대구 지역의 유교[유학]는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구 지역의 유학은 고려 말에 시작되었으며, 조선의 개국에 유학의 의리정신(義理精神)을 중시한 절의파와 경세론(經世論)을 중시한 개혁파로 나눌 수 있다.

둘째, 조선 후기에 이르면 퇴계학을 중시하는 도학파가 나타나서 교육을 통하여 제자들을 양성하여 계보(系譜)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들이 행한 교육의 중심 장소는 연경서원이다.

셋째, 대구 지역의 유학은 이기론(理氣論) 등 이론보다는 수양을 중시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추구하였다. 또한 효행(孝行)이나 향약(鄕約) 등 실천을 중시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조선 후기에 이르도록 계승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