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491
한자 敦睦齋
영어공식명칭 Donmokjae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화랑로36길 38[만촌동 197-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일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돈목재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화랑로36길 38[만촌동 197-1]지도보기
원소재지 돈목재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화랑로36길 38[만촌동 197-1]
성격 재실
양식 겹처마 팔작지붕 한옥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1.5칸
소유자 달성하씨 봉사공파 만촌동 종중
관리자 달성하씨 봉사공파 만촌동 종중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하시찬을 배향한 달성하씨 문중 재실.

[개설]

돈목재(敦睦齋)열암(悅菴) 하시찬(夏時贊)[1750~1828]을 배향하고 있는 달성하씨(達城夏氏) 문중 재실이다. 달성하씨의 시조는 중국 송나라에서 대도독을 지낸 하흠(夏欽)이다. 하흠은 인종(仁宗) 때 고려에 귀화하여 달성(達成)[현 대구광역시]에 정착하였고, 하흠의 아들 하용(夏溶)은 나라에 공을 세워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그 후 후손들은 본관을 달성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 왔다.

달성하씨는 조선 후기 영조(英祖) 대 이후에는 벼슬보다 학문과 덕행으로 명성을 떨친 인물들을 많이 배출하였다. 그중에서도 하시찬은 예학(禮學)에 밝아 『팔례절요(八禮節要)』를 저술하였고, 만년에는 ‘독무암서(獨茂巖棲)’라는 서재를 짓고 유학에 정진하며 『열암문집(悅菴文集)』 전 5권을 남겼다.

달성하씨 문중의 유적으로는 고려 때 이부시랑을 지낸 효자 하광신(夏光臣)의 정려각과 독무재(獨茂齋),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망우당공원의 달성하씨유허비(達城夏氏遺墟碑) 등이 있다.

[위치]

돈목재수성구 화랑로36길 38[만촌동 197-1]에 있다.

[변천]

돈목재는 하동달(夏東達)이 여러 일족들의 힘을 모아 중수하였다. 박효수(朴孝秀)가 쓴 기문(記文)이 남아 있다.

[형태]

돈목재는 정면 4칸, 측면 1.5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형태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