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5772 |
---|---|
한자 | 大邱美術 百年史 |
영어공식명칭 | 100 Years of Art in Daegu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서구 공원순환로 201[성당동 187]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현주 |
간행 시기/일시 | 2015년![]() |
---|---|
간행 시기/일시 | 2016년![]() |
소장처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신당동 1000]![]() |
간행처 | 한국미술협회 대구광역시지회 -
대구광역시 달서구 공원순환로 201[성당동 187]![]() |
성격 | 단행본 |
저자 | 대구미술 100년사 편찬위원회|이중희|김영동|김태곤|이나나|홍원기|김영동|김태곤|조덕연|대구미술협회 |
간행자 | 한국미술협회 대구광역시지회 |
표제 | 대구미술 100년사 근대편|대구미술 100년사 현대편1 |
2015년과 2016년 한국미술협회 대구광역시지회가 대구 지역 미술의 100년 역사를 정리하여 발간한 책.
『대구미술 100년사(大邱美術百年史)』는 대구광역시가 대구 미술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미술 도시 대구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발간한 책이다. 2015년에는 구한말부터 6·25전쟁 이전까지 대구에서 활동한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1862~1936], 죽농(竹農) 서동균(徐東均)[1902~1978], 이인성(李仁星)[1912~1950] 등 대구 지역 출신 미술가들의 생애와 작품 활동, 미술 단체들의 활동을 정리한 『대구미술 100년사』-근대편을 발간하였다. 2016년에 발간한 『대구미술 100년사』-현대편1에는 6·25전쟁부터 2000년까지의 대구 미술사를 수록하였다.
『대구미술 100년사』는 대구 지역 미술 문화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과거 역사를 새롭게 고찰하고자 간행되었다. 2015년 첫 권으로 발행한 『대구미술 100년사』-근대편은 이중희, 김영동, 김태곤, 이나나 등을 주축으로 한 대구미술 100년사 편찬위원회를 조직하여 편찬하였고, 2016년 발행한 『대구미술 100년사』-현대편1은 대구미술협회의 홍원기, 김영동, 김태곤, 조덕연 등이 주축이 되어 편찬하였다.
『대구미술 100년사』는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대구미술 100년사』-근대편은 284쪽, 『대구미술 100년사』-현대편1은 346쪽으로 서술되었다.
『대구미술 100년사』-근대편은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 1950년까지의 근대 미술을 정리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민족정신을 표현하고 대구의 시대정신을 반영한 작가들의 모습을 담았다. 『대구미술 100년사』-근대편의 내용은 ‘초창기 대구 미술의 형성’, ‘묵향에 담긴 문인의 정신’, ‘대구 서양화단의 성립’, ‘대구미술, 격변의 시대’로 서술되었다.
『대구미술 100년사』-현대편1은 1960년대부터 2000년도까지의 대구 지역의 미술사를 정리하고 소멸 혹은 멸실되어 가는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 모더니즘 미술의 역사와 함께 일어난 대구 미술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대구미술 100년사』-현대편1도 크게 네 부분으로 되어 있다. ‘대구 현대 한국화의 전개와 특성[1960~2000년]’, ‘대구 현대미술의 형성[1960~1970년대]’, ‘대구 미술, 격변의 시대[1980년대]’, ‘대구 서양화단의 상황[1990년대]’으로 서술되었다.
『대구미술 100년사』를 통하여 대구 미술의 문화적인 가치를 높이고 시민들에게 지역 문화의 자부심을 가지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