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5983 |
---|---|
한자 | 婚禮服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심도희 |
대구광역시에서 남녀가 혼인을 할 때 입는 의례복.
혼례복은 남녀가 혼인을 할 때 입는 의례복이다. 혼례는 관혼상제(冠婚喪祭) 중 가장 경사스러운 날로 이 날은 서민들의 궁중예복 착용이 허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신랑은 관리의 복식인 청색 단령(團領)을 입고, 신부는 이에 대응한 홍색 원삼(圓衫)이나 활옷을 착용한다. 1950년대 대구에서 현대식 예식장이 생기기 전까지 남녀는 전통 혼례복을 입고 결혼식을 올렸다.
혼례복에 대한 『사례편람(四禮便覽)』의 기록을 보면, 신랑은 단령(團領)을 입고 사모(紗帽)를 쓰고 품대(品帶)를 하고 흑화(黑靴)를 신었다고 하였다. 신랑 예복인 단령은 신라가 당복(唐服) 채용 후 백관의 상복(常服)이 된 것이다. 이 단령에는 그 집안의 벼슬과 품계에 맞게 흉배(胸背)를 달았는데, 혼례 시 신랑은 당상관과 같이 쌍학(雙鶴)의 흉배를 달았다. 신부 예복인 원삼(圓衫)은 왕실의 비빈(妃嬪)과 내명부·외명부의 의례복으로 입었던 것이다.
혼례복에서 신랑은 머리에 사모를 쓰고, 속옷은 속적삼, 바지, 저고리를 입으며, 그 위에 쌍학의 흉배가 달린 단령을 입고, 허리에는 서대(犀帶)를 한다. 신은 목이 길고 흑색 우단의 목화(木靴)를 신는다. 신부는 머리에 칠보단장을 한 족두리를 쓰고 댕기를 꽂으며, 상의는 모시적삼에 분홍저고리, 하의는 바지와 홍색치마를 입고, 그 위에 원삼이나 활옷을 입는다. 신은 구름모양을 놓은 신코에 비단으로 만든 당혜(唐鞋)를 신는다. 혼례복은 경제적 형편에 따라 옷감이나 문양의 차이가 있었지만 대구에서 신식 결혼식이 생기기 전까지 남녀의 보편적인 결혼 예복이었다.
혼례복은 음양조화(陰陽造化) 사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신랑의 단령(團領)의 청색과 신부의 원삼(圓衫)의 홍색은 음과 양의 조화, 즉 남성과 여성의 조화를 뜻한다. 전통적으로 결혼은 가문의 만남이고, 결혼을 통하여 후사를 잇는 것이 집안의 가장 큰 일이었다. 그래서 신부가 입었던 노랑저고리는 흙을 상징하여 만물을 생성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고, 홍치마는 자손과 가문이 불과 같이 왕성하라는 뜻이 담겨 있다.
혼례복은 196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서구화되었다. 남녀의 결혼 예복도 서구식 턱시도와 드레스로 바뀌었다. 대구에서는 1951년 우병근이 대구 최초의 현대식 예식장인 대구예식장을 연 후, 예식 문화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현재 혼례복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으며, 대구 향교에서 전통 예식을 올리거나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한 후 폐백을 할 때 주로 착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