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무태 조산봉」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105
한자 無怠 鳥山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1년 - 「무태 조산봉」 『한국구비문학』Ⅰ에 수록
관련 지명 조산봉 -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은씨
모티프 유형 지명유래담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는 조산봉과 관련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

[개설]

「무태 조산봉」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는 조산봉(鳥山峰)과 무태(無怠) 땅에 살던 은씨(殷氏)와 관련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무태 조산봉」은 2001년 국학자료원에서 펴낸 『한국구비문학』Ⅰ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는 ‘조산봉(鳥山峰)’이라는 산봉우리가 있는데, 일명 ‘조산봉(造山峰)’이라고도 한다. 조산봉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신라 시대[혹은 고려 초기]에 무태 땅에 은씨들이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은씨들 중 무태 앞들을 대부분 소유한 큰 부자 은씨가 살았는데, 인심이 좋다는 소문이 자자하여 과객들이 끊일 날이 없었다. 은씨는 과객 대접으로 너무 많은 재물이 쓰여서 어떻게 하면 손님을 줄여 재물을 덜 축낼 수 있을까 생각하고 있었다.

어느 날 은씨의 집에 초췌하기 이를 데 없는 노승이 시주를 청하러 왔다. 은씨의 집 종부(宗婦)가 노승에게 손님을 줄여 재물을 아낄 방법을 묻자, 노승은 들 앞에 있는 산을 깎아 평평하게 들로 만들면 손님이 끊어질 것이라고 일러 주었다. 종부는 당장 머슴들을 데리고 산봉우리를 깎아 내리기 시작하였는데, 산 중턱쯤 깎아 내자 갑자기 산속에서 학 세 마리가 날아올랐다. 세 마리 학은 산을 지키는 산 지킴이였다. 깜짝 놀란 종부가 산 지킴이 새를 건드리면 화를 입는다는 것을 생각하고 머슴들에게 다시 산을 쌓아 올리라고 하였다. 종부가 깎으려다 다시 쌓은 산이 지금의 조산봉이다. 그 뒤 은씨 부자는 집안에 손님도 끊기고, 큰 홍수가 나서 집과 온 들을 덮어 망하고 말았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무태 조산봉」은 지명유래담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