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110 |
---|---|
한자 | 三鳳山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김석배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2년 - 「삼봉산」 국학자료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Ⅱ에 수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9년 - 「삼봉산」 대구광역시에서 발행한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 |
관련 지명 | 수도산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터줏대감 |
모티프 유형 | 지명유래담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있는 수도산에 얽힌 이야기.
「삼봉산(三鳳山)」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大鳳洞)에 있는 수도산(修道山)에 얽히어 전하여 오는 이야기이다.
「삼봉산」은 2002년 국학자료원에서 펴낸 『한국구비문학』Ⅱ와 2009년 대구광역시에서 펴낸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있는 수도산의 원래 이름은 삼봉산(三鳳山) 또는 기린산(麒麟山)이라고 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 통일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897] 시절 수년간 계속된 흉년으로 나라 사정이 매우 어려웠을 때, 동네의 터줏대감에게 어린아이와 거지가 찾아와서, 기린산 뒤쪽을 파서 못을 만들면 나라가 태평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튿날부터 못을 팠으나 물이 나오지 않자, 터줏대감이 매일 그 자리에서 소원을 빌었다. 어느 날 한 노인이 나타나 기린산에 있는 갓을 쓴 형상의 바위에 정성을 들이면 소원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하였다. 터줏대감이 기린산 바위에 지극 정성을 드렸더니 열흘이 지난 뒤 다시 노인이 나타나, 기린산 기슭에 있는 웅덩이 물을 저녁마다 떠서 봉황이 마시도록 부근에 놓아두라고 말하였다. 터줏대감이 며칠 동안 시키는 대로 하였더니, 기린산 위로 머리는 닭이고 몸은 뱀인 큰 새가 날아갔다. 다음 날부터 물줄기가 잡혀 훌륭한 저수지를 만들었고, 그 덕분에 해마다 풍년이 들었다.
그 뒤 터줏대감의 맏아들 대봉(大鳳)은 국사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물이 되었고, 둘째 아들 봉덕(鳳德)은 지장 관리가 되었고, 막내아들 봉산(鳳山)은 높은 벼슬을 하였다고 한다. 터줏대감은 세 아들에게 근처 논밭을 물려주어 살게 하였는데, 그렇게 만들어진 마을이 바로 대봉동(大鳳洞), 봉덕동(鳳德洞), 봉산동(鳳山洞)이다. 기린산은 마을 이름을 따서 ‘삼봉산’으로 불렀다고 한다.
「삼봉산」은 지명 유래담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