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은적사의 유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124
한자 隱跡寺- 由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남구 앞산순환로 574-120[봉덕동 1572]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2년 - 「은적사의 유래」 국학자료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Ⅱ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9년 - 「은적사의 유래」 대구광역시에서 발행한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
관련 지명 은적사 - 대구광역시 남구 앞산순환로 574-120[봉덕동 1572]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왕건|견훤|신숭겸|김락|영도
모티프 유형 사찰 연기 설화

[정의]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앞산에 있는 은적사와 관련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

[개설]

「은적사의 유래」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앞산에 있는 은적사(隱跡寺)에 얽힌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은적사의 유래」는 2002년 국학자료원에서 펴낸 『한국구비문학』Ⅱ와 2009년 대구광역시에서 펴낸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앞산에 있는 은적사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후삼국시대에 후백제의 견훤(甄萱)[867~936]이 신라를 침공하자, 신라 경애왕(景哀王)[?~927]이 고려 왕건(王建)[877~?]에게 구원병을 보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왕건은 구원병을 이끌고 와서 팔공산(八公山) 동수(桐藪)[지금의 동화사(桐華寺)]에서 싸웠으나 대패하였다. 왕건신숭겸(申崇謙)[?~927]과 김락(金樂)[?~927]의 지혜로 겨우 사지에서 벗어났지만 신숭겸김락팔공산에서 전사하였다. 신숭겸이 묘책을 발휘한 곳은 후에 ‘지묘동(智妙洞)’이라 불렀다. 왕건은 구사일생으로 탈출하여 은적사 대웅전 우측 대나무 숲속에 있는 자연 동굴에 숨었다. 왕건이 굴에 숨자 왕거미가 나타나 굴 입구에 거미줄을 쳐서 견훤의 추격병들로부터 위기를 모면하였다. 왕건은 동굴에서 사흘간 머문 후 안일사(安逸寺)가 있는 곳에서 3개월 동안 쉬고 황악산(黃嶽山)을 넘어 고려로 돌아갔다. 그 뒤 왕건은 사흘간 보낸 굴이 있는 곳에 승려 영도를 보내어 숨을 ‘은(隱)’, 자취 ‘적(跡)’을 써서 ‘은적사’라는 사찰을 짓게 하였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은적사의 유래」는 사찰 연기 설화를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