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132 |
---|---|
한자 | 長田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석배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2년 - 「장전」 국학자료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Ⅱ에 수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9년 - 「장전」 대구광역시에서 발행한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 |
관련 지명 | 장전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아낙네들 |
모티프 유형 | 지명 유래담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있는 장전과 관련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
「장전」은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있는 장전(長田)과 관련하여 전하여 오는 지명유래담이다.
「장전」은 2002년 국학자료원에서 펴낸 『한국구비문학』Ⅱ와 2009년 대구광역시에서 펴낸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의 자연부락 장전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장전은 대명동에서 가장 큰 마을이던 서괘진(西掛津)[서꺼리, 안지랑골] 북동쪽에 있는 마을인데, 동서 방향으로 사래가 긴 밭들이 있어서 마을 이름을 ‘장전’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밭이 매우 넓어 아낙네들이 한 사래의 김을 매는 데 한나절이 걸렸다고 한다. 경상도 발음으로는 ‘긴 밭’이 ‘진 밭’이어서 장전을 ‘진밭’이라고도 하였다.
「장전」은 지명유래담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