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주추 캐는 처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264
한자 - 處女
영어공식명칭 Juchu Kaeneun Cheonyeo|Song of Girl Picking Herb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서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3년 8월 28일 - 「주추 캐는 처녀」 대구광역시 서구 중리동에서 채록
채록지 「주추 캐는 처녀」 채록지 - 대구광역시 서구 중리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
성격 민요
토리 경토리
출현음 솔|라|도'|레'|미'|솔'|라'
기능 구분 노동요|유희요
형식 구분 독창
박자 구조 3소박 4박
가창자/시연자 윤용자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노동요이자 유희요.

[개설]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주추 캐는 처녀」는 나물을 캐면서 노동요로 부르기도 하지만, 나물 캐는 처녀를 소재로 남녀의 연정을 노래한 유희요로 불리기도 한다.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주추 캐는 처녀」 역시 마찬가지 양상을 보인다.

[채록/수집 상황]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에 따르면 1983년 8월 28일 대구직할시 서구 중리동[현 대구광역시 서구 중리동]에서 가창자 윤용자로부터 「주추 캐는 처녀」가 채록되었다. 채록된 음원과 사설 등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운영하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주추 캐는 처녀」는 독창 형식으로 부른다. 박자는 3소박 4박에 솔·라·도'·레'·미'·솔'·라'가 출현하는 경토리이다.

[내용]

중리동에서 채록된 「주추 캐는 처녀」는 서로 대화하는 방식으로 내용이 간략하게 전개된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황해도 공산 구월산 밑에/ 주추 캐는 저 처녀야/ 너의 집이가 어드메길래/ 해가 져도 아니 가나/ 나의 집이를 오시려거등/ 사앙조산 칠안개 속에/ 초가삼간이 나 집이요/ 맘에 있거등 따로를 오고/ 맘에 없거등 그만두쇼.”

[현황]

현재 「주추 캐는 처녀」를 기억하는 이들도 드물고, 거의 전승되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주추 캐는 처녀」는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노래로서 지역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